Q. 카카오스타일 커머스플랫폼 데이터 분석 인턴
안녕하세요. 카카오스타일 커머스플랫폼 데이터 분석 인턴에 지원하려고 하는 취준생 입니다.
자소서가 필수는 아니지만 이력서와 함께 작성하려고 하는데, 직무 이해와 관련한 도움을 얻고자 문의 남깁니다.
1) '서비스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여러 분석 방법론과 도구를 이용'한다는데, SQL 역량이 요구되는 거 보면 분석 방법론은 퍼널 분석, 리텐션, 코호트, ab테스트 정도가 생각이 됩니다. 이게 맞을까요? 또한 서비스 분석에 사용되는 다른 분석 방법론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이커머스 플랫폼 비즈니스에 필요한 검색, 결제, 물류, 상품, 유저 등 다양한 도메인을 개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도메인을 개발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알고계신다면 조언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1) 분석 방법론은 퍼널 분석, 리텐션, 코호트, AB테스트가 맞습니다. 다만,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론이 있을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합한 방법론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장 조사나 마케팅 전략 분석을 위해서는 SWOT 분석, PEST 분석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도메인을 개발한다는 것은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여 해당 분야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결제 도메인 개발은 결제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적인 부분을 이해하고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3) 커머스 플랫폼에서 자주 사용하는 지표들은 매출, 매출 증감률, 이용자 수, 이용자 증감률, 구매 횟수, 재구매율, 장바구니 담기율, 구매 완료율, 이탈률, 페이지 뷰 수 등이 있습니다. 또한, 고객 만족도, 서비스 만족도, 리뷰 및 평점 등도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외에도 해당 플랫폼의 목적과 목표에 따라 다양한 지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2024.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