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간략하게 얘기하자면 기존의 핸드폰 처럼 인터넷망에 연결을 하지 않았습니다. 기술적 문제라기보단 보안의 문제였죠. 자동차가 외부망에 의해 해킹되면 사람 목숨을 잃게될 수 있으니까요.
그러나 이용자의 편의성 증대. 자율주행 등을 위해서 더 이상 외부망과의 연결을 언제까지 안쓸 수 없었죠.
그래서 결국 자동차도 핸드폰처럼 외부망과 통신을 해야되는데 그런 역할을 하는게 CCU 입니다.
자동차에는 여러종류의 제어기가 들어가 있습니다.
조향.제동.구동.안전.램프.편의.네비게이션 등등이죠.
이러한 제어기는 각각 별도의 제품으로 존재하는데 당연히 자동차가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이런 제어기들 간에 협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통신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을 할 때, 카메라와 브레이크는 서로 통신을 해야합니다. 카메라가 전방 화면을 주시하다가 장애물이 발생하면 이 사실을 브레이크제어기에 알려서 브레이크가 동작해서 자동차가 멈추는거죠.
이런식으로 기존의 제어기들은 차량 내부망을 통해 자체적으로는 서로간의 통신을 하고 있었습니다.
근데 이제는 자동차외부랑도 통신을 하고싶은거죠. 예를 들어 V2V. V2X 통신이 있습니다. V2V는 자동차 끼리의 통신. V2X는 외부인프라와 자동차간의 통신입니다.
V2V를 사용해서 차량끼리 통신해서 차선변경을 안전하게 할 수 있고.. 신호등과 자동차가 통신을 해서 신호위반을 막을 수도 있겠지요.
그리고 최근에 적용되는 기술이 OTA인데 Over The Air의 약자입니다. 무선통신으로 자동차 제어기의 sw를 업데이트한다는 겁니다. 핸드폰 app이 온라인으로 자동업데이트 되는거 처럼요. 기존의 자동차는 이게 안되서 sw결함이 생기면 정비노로 리콜해야했죠.
암튼 이렇게 자동차 내부가 아니라 외부와 통신하려는 시도가 늘어났고.. 그런 통신을 담당하는 제어기가 CCU 입니다.
이러한 통신제어기 역시 다른제어기처럼 통신역할을 수행할 mcu가 필요하고. Mcu 가 정상동작하기 위해서 회로설계를 해야합니다. Mcu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필요하고,
차량 내부의 다른제어기와 통신하기 위해 CAN통신을 위한 트랜시버가 필요한데 트랜시버의 전원공급회로. 그리고 트랜시버를 조작하기 위해서 MCU의 GPIO핀과 트랜시버를 연결해야합니다.
또한 외부망과 무선통신을 하기위해서 무선네트워크를 하기위한 소자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회로를 구성해야합니다
HW직무는 CCU가 제 기능을 하기 위해 필요한 MCU.전원부분.각종 소자 등등이 정상동작하도록 회로를 설계하는게 주요업무입니다
SW직무는 그렇게 해서 완성된 MCU에 제어SW를 코딩해서 실제로 내부.외부망과 통신을 하고 데이터를 서로전달해주고.. 그런 SW를 만드는게 주요업무이구요
아주 간략하게 얘기하자면 기존의 핸드폰 처럼 인터넷망에 연결을 하지 않았습니다. 기술적 문제라기보단 보안의 문제였죠.
자동차가 외부망에 의해 해킹되면 사람 목숨을 잃게될 수 있으니까요.
그러나 이용자의 편의성 증대. 자율주행 등을 위해서 더 이상 외부망과의 연결을 언제까지 안쓸 수 없었죠.
그래서 결국 자동차도 핸드폰처럼 외부망과 통신을 해야되는데 그런 역할을 하는게 CCU 입니다.
자동차에는 여러종류의 제어기가 들어가 있습니다.
조향.제동.구동.안전.램프.편의.네비게이션 등등이죠.
이러한 제어기는 각각 별도의 제품으로 존재하는데 당연히 자동차가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이런 제어기들 간에 협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통신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을 할 때, 카메라와 브레이크는 서로 통신을 해야합니다.
카메라가 전방 화면을 주시하다가 장애물이 발생하면 이 사실을 브레이크제어기에 알려서 브레이크가 동작해서 자동차가 멈추는거죠.
이런식으로 기존의 제어기들은 차량 내부망을 통해 자체적으로는 서로간의 통신을 하고 있었습니다.
근데 이제는 자동차외부랑도 통신을 하고싶은거죠.
예를 들어 V2V. V2X 통신이 있습니다.
V2V는 자동차 끼리의 통신. V2X는 외부인프라와 자동차간의 통신입니다.
V2V를 사용해서 차량끼리 통신해서 차선변경을 안전하게 할 수 있고..
신호등과 자동차가 통신을 해서 신호위반을 막을 수도 있겠지요.
그리고 최근에 적용되는 기술이 OTA인데
Over The Air의 약자입니다.
무선통신으로 자동차 제어기의 sw를 업데이트한다는 겁니다. 핸드폰 app이 온라인으로 자동업데이트 되는거 처럼요.
기존의 자동차는 이게 안되서 sw결함이 생기면 정비노로 리콜해야했죠.
암튼 이렇게 자동차 내부가 아니라 외부와 통신하려는 시도가 늘어났고..
그런 통신을 담당하는 제어기가 CCU 입니다.
이러한 통신제어기 역시 다른제어기처럼
통신역할을 수행할 mcu가 필요하고.
Mcu 가 정상동작하기 위해서 회로설계를 해야합니다. Mcu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필요하고,
차량 내부의 다른제어기와 통신하기 위해 CAN통신을 위한 트랜시버가 필요한데 트랜시버의 전원공급회로. 그리고 트랜시버를 조작하기 위해서 MCU의 GPIO핀과 트랜시버를 연결해야합니다.
또한 외부망과 무선통신을 하기위해서 무선네트워크를 하기위한 소자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회로를 구성해야합니다
HW직무는 CCU가 제 기능을 하기 위해 필요한
MCU.전원부분.각종 소자 등등이 정상동작하도록 회로를 설계하는게 주요업무입니다
SW직무는 그렇게 해서 완성된 MCU에
제어SW를 코딩해서 실제로 내부.외부망과 통신을 하고 데이터를 서로전달해주고.. 그런 SW를 만드는게 주요업무이구요
2020.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