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현대자동차 / 보전기술 플랜트운영 및 기술

Q. 현대자동차 플랜트기술이나 플랜트운영, 보전기술에 대해 궁금합니다.

첫째로 보전기술 영역에서 학사를 뽑느지 궁금합니다. 보통 고졸이나 초대졸자 지원인 경우가 많은데 현대자동차는 학사인가요??

구직자들 사이에서 플랜트기술이 플랜트 운영보다 선호도가 더 좋을 것 같은데 실제는 어떤지요?

답변 3
채택
캐빈코치
코사장 ∙ 채택률 88%

안녕하세요 멘티님 반갑습니다.
기아자동차 생산기술 직무 현직자 입니다.
보전도 영역이 많습니다. 그리고 대졸을 뽑는 부문도 많습니다.

생산기술과 생산관리 뭐가 선호된다, 뭐가 낫다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힘들거나 좋은 것이 다르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생산관리는 라인운영이다보니 작업자들과의 마찰과 같은 스트레스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생산기술은 진짜 엔지니어 같은 일을 하고 커리어패스가 좋지만 다소 업무강도가 있습니다.


채택
휴면계정

보전 학사졸 많이있습니다. 주로 전자과 아니면 기계과입니다.
플기랑 플운은 위에 기아자동차 멘토님이 말씀해주신것이 맞습니다. 개인성향차이입니다.


채택
멘토52177
코대리 ∙ 채택률 64% ∙
회사 산업
일치

보전 직무
- 기술직(고졸) : 실제 보전 업무를 수행
- 일반직(대졸) : 업무 배치, 기술직 고충 해결 등 지원 업무
이렇게 보면 되고, 당연 대졸도 뽑습니다.
단지 보전 인원 비중이 작습니다.
보전은 진정한 엔지니어라고 부르는데, 플랜트 설비를 수리 보수 하다보니 빠삭하게 알수 밖에 없습니다.
플랜트기술 / 플랜트운영 두분류가 보이실텐데
플랜트기술이 얼핏 먼가 더 엔지니어같아보이고 멋져 보이는데, 실무에서 보면 그야말로 지옥입니다. 야근, 초과근무 많고요. 그만치 초과 수당도 많이 가져가긴 합니다만, 퇴사율이 매우매우 높습니다. 매해 신입 20% 이상은 퇴사한다더군요.
서로 일 힘들다고 하는데, 나는 생기(플랜트기술)보다 힘들어 라고 자신 있게 말할수 있는 현대차 직원 없습니다.
플랜트운영이 상대적으로 널널하고
플랜트운영에서 가장 기피하는 직무가 <보전> 입니다.
배치 상담 들어가면 딱 한가지 전제가 깔립니다. <보전> 만은 가지 말자.
보전 하기 싫어서 차순위 기피 업무에 지원하는 동기도 있었고요.
기계보다는 주로 전기/전자 전공자를 보전에 배치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