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 SK하이닉스 / 모든 직무

Q. 하이닉스 기반기술 AT

해당 직무는 TEM, SEM등을 이용하여 표면분석을 하는 직무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 팀은 분석장비에 따라 아니면 분석하는 물질에 따라 나뉘나요?

2.혹시 어떤 분석장비를 사용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여러 분석장비를 전체적으로 공부하고 한 분석장비를 자세히 공부해서 어필하고싶습니다. tem을 집중적으로 공부해보려 했는데 석사를 나와도 오퍼레이터로 취업만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있어 해봤자 겉핥기 일까봐 afm같은 비교적 접근하기 쉬운 장비를 집중적으로 공부할까 고민중입니다

3. 학석박 분들의 비율을 알 수 있을까요? 아무래도 TEM과 같은 장비는 박사분들이 많이 사용하실 것 같고 저 같은 학사들은 수업으로 얕게 배워 TEM과 같은 장비를 맡지 않을 것 같은데 학사비율이 높은, 접근하기 쉬운분석장비팀(SEM,AFM,FIB등)도 있을까요?

4. 필요하고 중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 차후 해당 분석장비로 반도체개발하는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데 비전이 있을까요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팀 구성은 일반적으로 분석장비의 종류와 분석하는 물질에 따라 나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 팀은 특정 장비나 물질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2. 사용되는 분석장비에는 TEM(투과전자현미경), SEM(주사전자현미경), AFM(원자간력현미경), FIB(집속이온빔) 등이 포함됩니다. TEM에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도 좋지만, AFM과 같은 접근하기 쉬운 장비를 선택하는 것도 유익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장비를 경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학사, 석사, 박사 분들의 비율은 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TEM과 같은 고급 장비는 박사 학위 소지자가 많이 사용하지만, SEM, AFM, FIB와 같은 장비는 학사나 석사 학위 소지자도 많이 다룰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접근하기 쉬운 분석장비 팀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4. 해당 직무에서 필요한 역량으로는 분석기술에 대한 이해, 실험 설계 및 데이터 해석 능력, 문제 해결 능력, 팀워크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역량은 분석 장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결과를 도출하는 데 중요합니다.

5. 반도체 개발 관련 대학원 진학은 충분히 비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분석 장비에 대한 경험과 지식은 연구 및 개발 분야에서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으며,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어니언슾
코이사 ∙ 채택률 78% ∙
회사
일치

분석 방식에 따라 나뉩니다. 다양한 분석장비를 활용하는데 TEM SEM AFM등 다양한 장비에 대한 내용을 공부해두시면 좋습니다. 학사라고 장비 못다루지 않습니다. 엔지니어는 단순 분석장비를 다루는것에서 끝나지 않고 다양한 분석 솔루션을 연구하는 업무도 진행합니다.


하이닉스_HBM
코차장 ∙ 채택률 68% ∙
회사
일치

1. 제품에 따라 다릅니다.
2. 실제 분석 기술의 경우 장비를 직접 다루는것보다는 타겟 제품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춰져 있습니다
3. 고르게 있습니다.
4. 분석 장비와 반도체 구성에 대한 이해입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