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SK하이닉스 / 연구개발

Q. 공정설계 FA직무

1. 혹시 공정설계에서 Failure analysis (FA) 직무는 펩안에 많이 들어가나요? 여기를 펩이라고 부르는지 모르겠는데 오피스근무가 아니라 따로 분석실에서 근무를 하나요? 아니면 오피스에서 근무하다가 분석실도 들어가고 하는건가요?

2. FA가 하는 구체적인 업무를 알 수 있을까요? PI에서 어떤 불량이 발생했는지 분석해달라고 하면 불량을 전자현미경 같은것으로 분석하고 이를 PI팀에게 알려주는일인가요? 구체적으로 어떤업무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PRP를 짜고 이런업무는 거의 안하는건가요?

3. 불량분석하고 오피스에서 분석실 왔다갔다 하다보니 동적인 업무인가요? 워라벨은 PI부서에 비해 어떤지 궁금합니다

4. 보통 공정설계에서 PI,device, fa등등을 뽑던데 공정설계에서 FA의 비율은 얼마나되나요? PI가 가장많나요?

5. 분석실에도 펩처럼 소음이 좀 있는편인가요? fa는 분석실말고 펩도 많이 들어가나요? 또한 유독성물질도 많이 다루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4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공정설계에서 Failure Analysis (FA) 직무는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의 분석 및 문제 해결을 담당하며, 주로 분석실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직무는 오피스 근무와 분석실 근무를 병행할 수 있지만, 주로 분석실에서 실험 및 분석 작업을 수행합니다.

2. FA의 구체적인 업무는 주로 결함 분석과 관련된 작업으로, PI에서 발생한 불량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전자현미경 등 다양한 분석 장비를 사용합니다. 분석 결과는 PI팀에 전달되어 문제 해결에 기여합니다. PRP(Problem Resolution Process)와 같은 업무는 FA의 주요 업무가 아닙니다.

3. 불량 분석을 위해 오피스와 분석실을 오가는 경우가 많아 동적인 업무 환경을 가질 수 있습니다. 워라벨은 PI 부서와 비교할 때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회사 및 팀의 업무 스타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공정설계에서 FA의 비율은 회사와 팀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PI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FA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전체 인력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5. 분석실은 펩과 비교할 때 소음이 있을 수 있으며, FA 직무는 분석실뿐만 아니라 펩에서도 활동할 수 있습니다. 유독성 물질의 취급 여부는 특정 작업에 따라 다르며, 안전 규정에 따라 적절한 보호 장비와 절차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하이닉스_HBM
코차장 ∙ 채택률 69% ∙
회사 직무
일치

1. 엔지니어는 기본이 오피스입니다.
2. 반복적인 업무는 안하고 원인 분석을 공정 소자 중심으로 해서 오피스 업무를 합니다. 분석은 고졸이 합니다.
3. 워라벨은 부바부입니다.
4. PI가 메인입니다.
5. 반도체 회사는 환경안전기준이 업격합니다.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범범짠
코과장 ∙ 채택률 89% ∙
회사
일치

안녕하세요. 하이닉스 소자 FA 부서에 근무하고있는 현ㄱ자 입니다. FA 부서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으신거 같은데 하나씩 답변드리겠습니다.

1. 팹이라고 하면 보통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말하는데, 소자 직무는 대부분 팹에 들어갈 일이 거의 없습니다. 다만 FA 직무는 직접 분석을 해야하다보니 분석실을 자주 출입하게 됩니다.

2. 대부분 잘 이해하고 계신거 같습니다. 불량 분석을 통해 원인 공정을 찾아서 제시해주는게 주 업무입니다 PRP라는 용어는 어떤걸 말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공정 수순을 짜는 업무는 주로 PI에서 주관합니다.

3. 요즘 자동화도 많이되어있어 이전대비 분석실을 출입하는게 잦은 편은 아닙니다. 단순 근무 시간으로 말씀드리자면 PI보다는 워라벨이 좋은거 같네요

4. 넵 소자 직무는 소자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FA, Device비율은 적은 편 입니다. 대략적으로 PI대비 FA 인력은 20%정도일거 같네요

5. 분석실도 공조기가 돌아가기때문에 소음은 나겠지만 팹 만큼은 소음이 심하진않습니디. 위에 말씀드린것처럼 팹은 들어가지않습니다.
분석실에서 근무를 하다보니 유독성 케미컬 물질들을 직접 다뤄야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보호장비들을
모두 착용하고 진행합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다면 문의해주세요! :)


채택
어니언슾
코이사 ∙ 채택률 78% ∙
회사
일치

1. FA는 분석실에 갈 수 있습니다. 팹과는 다른 공간입니다. 업무에 따라 (pFA직무의 경우) 분석실에 들어갔다가 오피스에 있다가 왔다갔다 합니다.
2. 불량을 Physical하게 분석실에서 분석하는 업무를 진행하기도 하지만, 다른 방법을 통해서도(회로 관점 / 전자적 특성 관점 등) 불량을 정의하기도 합니다.
쉽게 생각해서 FA는 불량 현상을 1차적으로 Define하고 유관 부서에 불량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힌트를 제공해주는 부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워라밸은 부서마다 다 다르고 업무에 따라 달라서 뭐가 더낫다..는 좀.. 대신 신입사원들 입사하면 FA선호 많이 합니다..로 답을 대신 하겠습니다. 신입사원이 배치받고 배우면서 할수 있는 일들이 꽤 많습니다.
4.팀별 ,TO에 따라 다릅니다.
5. 분석실 소음 좀 있지만 힘든 정도는 아닙니다. 유독성물질 을 직접 손으로 다룰 정도로 위험한 곳은 아닙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