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공정설계 FA직무
1. 혹시 공정설계에서 Failure analysis (FA) 직무는 펩안에 많이 들어가나요? 여기를 펩이라고 부르는지 모르겠는데 오피스근무가 아니라 따로 분석실에서 근무를 하나요? 아니면 오피스에서 근무하다가 분석실도 들어가고 하는건가요?
2. FA가 하는 구체적인 업무를 알 수 있을까요? PI에서 어떤 불량이 발생했는지 분석해달라고 하면 불량을 전자현미경 같은것으로 분석하고 이를 PI팀에게 알려주는일인가요? 구체적으로 어떤업무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PRP를 짜고 이런업무는 거의 안하는건가요?
3. 불량분석하고 오피스에서 분석실 왔다갔다 하다보니 동적인 업무인가요? 워라벨은 PI부서에 비해 어떤지 궁금합니다
4. 보통 공정설계에서 PI,device, fa등등을 뽑던데 공정설계에서 FA의 비율은 얼마나되나요? PI가 가장많나요?
5. 분석실에도 펩처럼 소음이 좀 있는편인가요? fa는 분석실말고 펩도 많이 들어가나요? 또한 유독성물질도 많이 다루는지 궁금합니다
2. FA의 구체적인 업무는 주로 결함 분석과 관련된 작업으로, PI에서 발생한 불량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전자현미경 등 다양한 분석 장비를 사용합니다. 분석 결과는 PI팀에 전달되어 문제 해결에 기여합니다. PRP(Problem Resolution Process)와 같은 업무는 FA의 주요 업무가 아닙니다.
3. 불량 분석을 위해 오피스와 분석실을 오가는 경우가 많아 동적인 업무 환경을 가질 수 있습니다. 워라벨은 PI 부서와 비교할 때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회사 및 팀의 업무 스타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공정설계에서 FA의 비율은 회사와 팀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PI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FA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전체 인력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5. 분석실은 펩과 비교할 때 소음이 있을 수 있으며, FA 직무는 분석실뿐만 아니라 펩에서도 활동할 수 있습니다. 유독성 물질의 취급 여부는 특정 작업에 따라 다르며, 안전 규정에 따라 적절한 보호 장비와 절차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