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 · 공기업대기업 / SW개발

Q. 어떤 스펙을 더 쌓아야 할까요?

안녕하십니까!
소프트웨어공학전공 졸업자입니다.
제가 직무를 한 가지로 딱 정하지 못했지만
대기업/공기업 전산직 혹은 sw개발,운영 직무쪽으로 관심이 있습니다.

성적은 3.4
자격증은 정보처리기사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토익 790
한국사1급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직무와 관련없는 다수의 봉사활동과 대외활동 경험이 있습니다.

프로그래밍언어는 C언어, Java, C++을 사용할 줄 알지만 자신있게 잘 사용할 수 있다고는 못 하겠습니다...

또한 프로젝트경험은 수업때 과제로 한 게 전부입니다.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를 이용하고
안드로이드어플도 만들어보고
비주얼 베이직으로 웹 시스템 등 여러 프로젝트를 한 적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수상한 경험도 공모전도 나간 경험은 전혀없 습니다.

현재 토익 성적이 미흡한 것 같고, 토익보다는 스피킹이 추세인 것 같아 토익스피킹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공 관련 스펙이 부족한 것 같은데 어떤걸 더 준비하면 될까요?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 5
채택
피여
코과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일단 전산직과 개발직, 운영직은 제각기 성격이 다른 직무입니다. 스펙도 중요하지만 먼저 멘티님이 어떤 직무를 원하고, 어떤 원하는 직무를 타겟팅하느냐에 따라 방향성이 달라집니다.

스펙에 대해서 말씀드리자면, 중 혹은 중하 정도의 스펙이라고 판단됩니다. 요즘 취업시장은 공모전이나 인턴과 같은 대외활동 경험을 가진 경쟁자들이 매우 많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어학성적이나 자격증 등등과 같은 스펙은 제 경험상 그다지 큰 비중의 스펙은 아닙니다.
또 그렇지만 스펙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멘티님이 면접까지 가서 다른 경쟁자와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주시면 그것 자체가 다른 스펙이 됩니다. 그러니 일단 상반기 취업을 목표로 도전하시되, 어학성적도 좋지만 시간이 제한되었다면 공모전이나 인턴과 같은 대외활동에 참여하셔서 프로젝트 경험과 경력 사항을 조금이라도 쌓으시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채택
가카리
코부장 ∙ 채택률 77%

1. 어느분야 지원하실거에요? 웹개발? 앱개발? 데이터베이스? 게임클라이언트? 게임서버? 프론트? 백엔드? 품질테스트? IT기획? 임베디드? 등등
2. 윗항목을 잘모르시겠다면 다음을 기준으로 정하세요.
가.나는 야근이 좋고 돈도 많이 벌고싶다
-제조업
나. 나는 야근이 좋으나 실력이 다소 떨어지지만 코딩이하고싶다.
-SI기업
다. 나는 야근도 좋고 실력도 좋고 독자적인 커리어를 쌓고싶다.
- 게임회사/인터넷서비스회사
라. 나는 야근이 싫고 코딩실력도 없는데 공부는 잘한다.
- 공무원 / 공공기관
마. 나는 야근할바에야 회식이 더 좋다
- IT회사 B2B영업

그래서 제가 공공기관을 다니고있습니다.
멘티님도 잘정하시길 바래요.


질문자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제가 어느 직무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 많이 되었는데, 선생님 말씀으로 어디를 선택해야 할 지 갈피가 잡힙니다.
확 와 닿았습니다. 조언 너무 감사합니다!


채택
s
sho59
코과장 ∙ 채택률 88%

우선 공기업과 일반 대기업의 채용절차에 따라 준비해야할것이 나눠져야할것 같습니다
1. 공기업의 경우 ncs를 통과하는데 관건입니다. 기존 대기업 인적성과는 다른 프로세스로 진행되기 때문에 짧으면 한달 길면 세달의 준비기간을 거쳐서 준비하시면 될것같습니다.
2. 대기업의 경우 일반적으로 인적성을 보는 기업과 코딩테스트를 보는 쪽으로 나눠집니다. 전자의 경우 자소서, 인적성, 면접의 프로세스로 진행되기때문에 자소서와 인적성을 중심으로 준비하면 되겟고 후자의 경우 네이버, 카카오, 라인, 삼성 등의 경우 인적성대신 코딩테스트를 통해서 지원자들을 평가합니다.

코딩엔 자신없으시다면 공기업/일반대기업으로 지원하시면 될것같습니다.


질문자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
요즘 대기업도 공기업도 채용공고가 쏟아져서 어떤 곳을 넣어야 최적의 전략인지 고민이었습니다.
선생님의 말씀을 보니 고민이 해결되는 것 같습니다!!!
정말 정말 감사드립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