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 공기업, 사기업 / 인사/총무

Q. 경력 1년

안녕하세요. 건설회사 관리직으로 1년간 근무했던 취준생입니다.

신입직으로 지원한 기업의 이력서에 1년 경력에 대해 한 줄 적는 것이 좋은 것인지, 안 좋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인사담당자분들께서는 저처럼 1년 정도의 경력이 있는 지원자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요..?
(제가 1년간 관리직으로 근무했던 업무 경험이 총무 직무와 유사해서 업종 관계없이 총무직 이력서에 경력사항을 계속 기입해오고 있는데 서류 광탈만 해서 걱정이 되네요.. 순전히 자소서 문제인거 같진 않은데.. )

그래도 1년 배운게 있으니 여기서도 빨리 배우고 적응하겠네. VS 1년만 하고 퇴사한 걸 보니 뽑아놓으면 금방 나갈 수도 있겠네.

현업에 계신 여러 선배님들로부터 여쭤보고 싶습니다. 이력서의 1년 경력 한 줄이 +인가요? -인가요?

답변 3
채택
C
Comento41
코상무 ∙ 채택률 78%

이것은 담당자들 사이에서도 분분합니다.
그래도 아주 생신입보다는 조직개념도 있고, 어느 정도 괜찮다는 의견과 그렇지만, 1년만에 직장을 옮길 정도이니 개인적으로 조직적응성에 문제가 있지 않겠나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 1년 정도는 괜찮지 않나라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현재 트렌드가 그래서 그런가봅니다.

이 부분은 면접시에 어느 정도 확인해보는 방법으로 현재 접근하고 있는 거 같습니다.


채택
뽀로롱타요
코사장 ∙ 채택률 78%

제가 지원자라면 1년 경력을 기입할 것입니다.
1년 경력이라도 사회생활 경험과 유사업종 경험을 했다는 것은 의미있는 일입니다.
서류광탈이 1년경력 때문인 것 같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1년동안 지원자님이 배운것과 느낀것을 포함하여 자소서를 잘 정리하여 적으신다면 메리트가 있을것입니다


채택
멘토5719
코상무 ∙ 채택률 78%

동일한 직무로 지원한다면 경력을 기입하는 것이 유리할 것입니다.
대신, 1년 근무하고 퇴사한 이유가 뚜렷해야겠지요
퇴사한 이유가 명확하다면 경력을 기입해서 님이 지원하는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알리시고, 조직원들이나 조직에 적응하지 못하는 등의 부정적 내용이었다면 작성하지 않는 것이 유리할 것입니다.
대신, 나중에 취직한 후 4대보험에 가입한 경력은 드러날 수도 있음을 아시고 경력 기재 여부를 결정하십시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