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산업 · 대학교교직원 / 사무/행정

Q. 대학교 교직원 지원할 때 대학의 네임밸류가 중요한가요 ?

질문과 같은 내용입니다.
대학교 교직원 지원할 때 대학의 네임밸류가 중요한가요 ?
행정직원의 특성상 대학마다 하는 업무는 비슷하겠지만
학교의 인지도가 근무환경이나 업무강도 등 업무에 큰 영향력을 주는지가 궁금합니다.

답변 3
멘토39414
코대리 ∙ 채택률 100%

안녕하세요
소위 말하는 서울의 유명한 대학에서는 아직까지는 대학교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곳이 많긴 한 것 같습니다. 몇몇 학교는 선호하는 대학교도 있다고 들었어요. 하지만 어느 대학 출신인지는 타이틀일 뿐이고 지원자의 능력이 갖춰져 있는게 더욱 우선시 되겠죠.
출신 대학에 따라 업무 강도나 근무 환경이 달라지는 곳은 많지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일단 합격이 되면 인지도가 높은 대학이라고 해서 쉽고 편한 일을 배정하거나 그런 일은 드물어요. 대부분은 동등한 신입의 위치에서 시작할 거예요.
아직 우리 사회에서는 대학 네임밸류가 중요하긴 하지만 그게 전부가 아닙니다. 본인이 어떠한 노력을 하며 지내왔고 그 역량을 어떻게 표출해낼지 어필하는 게 더 중요해요!


멘토5719
코상무 ∙ 채택률 78%

서울대학교병원 담당자께서 주신 말씀에 적극 공감합니다.
우수한 네임밸류 다음에, 반드시 꼭 곁들여져야 하는 것은 직무수행 능력을 키우고자 노력한 님의 흔적입니다.(=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스펙)
지원한 직무관련 자격증은 기본이고, 자격증 외에도 직무관련 경험, 기타 대외활동 등도 반드시 갖추어져야 하는 것입니다.
바꾸지 못할 네임밸류에 얽매이기 보다는 추가할 수 있는 스펙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신 후 그러한 스펙을 갖추셔야 님께 호감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C
Comento41
코상무 ∙ 채택률 78% ∙
직무
일치

입사전형에서 아무래도 대학도 네임밸류에 따라서 눈길이 한 번 더 가거나 한 번 더 생각하게 되는 것은 있겠죠. 그것은 아무래도 모든 곳이 그렇지 않을까 하네요.
그렇지만, 합격 이후 근무환경이나 업무강도가 이력서의 학교에 따라서 나누어지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해당 직무 적합성을 보고 판단하는 문제입니다.
그리고 최근은 대학교 이름도 중요하지만, 개인의 능력에 많이 집중하는 느낌입니다. 개인의 역량을 솔직하게 보여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