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크게 공사, 공무 업무로 나뉘는 걸로 아는데 외에도 다른 직무가 있으면 간단히 설명듣고 싶습니다.
답변
3
채택
B
BetterYOU
LG에너지솔루션
코과장
∙ 채택률 80%
발전플랜트도 EPC 프로젝트로 진행되고, 현장에는 주로 공사, 공무 그리고 사업관리, 시운전, 소수의 설계 기술 인력들도 근무를 하겠네요. 말씀하신 공사인력이 비중은 가장 크긴 하겠지만 다른 직종도 많이 일을 하구요. 사업관리(PM)는 전체 프로젝트 일정이나 예산관리를 하는 조직이고, 시운전은 보통 공사 막바지에 시운전 준비부터 실행까지 참여합니다. 설계 인력도 설계 기술이 현장에 잘 적용되었는지 점검하거나, 현장에서 발생하는 트러블들에도 대응해야하고, 주기기 벤더와도 협조하면서 현장에서 일을 합니다.
채택
양
양산박
대림산업
코이사
∙ 채택률 68%
1. 현장 업무의 경우 사업주와 도급사간의 계약 Scope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발생할 수 있겠으나, 일반적으로 플랜트 현장에서 업무는 하기와 같습니다. - 시공팀 : 기계 / 배관 / 장치 / 보온 / 도장 / 전기 / 계장 - 공무팀 : 각 시공 부서 및 업종마다 전담 공무가 배치되고, 공무팀은 각 공무의 자료를 취합 (하도급사와의 계약 주관) 및 본사에서 주어지는 업무를 수행하는 부서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 품질팀 : 인허가, 현장 검사를 주관하는 부서 - 안전팀 - Admin (행정): 회계처리, 민원처리 등을 담당 - 자재팀 : 자재 야적, 배포, spare part 등을 사업주에 이관 - 시운전팀 : 계약적 Scope of Work에 따라 규모가 다름. 발전소의 경우 Performance Test까지 도급사에서 수행하는 경우가 있음. 2. 실질적으로 품질, 안전, Admin., 자재팀, 시운전팀은 도급사 입장에서는 Main 업무로 보기는 힘들지만, 그것이 중요하지 않다는 의미는 아닙니다.공무 업무를 이해하려면, 적산 관련된 내용을 검색하여 찾아보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서
서예아선남
현대엔지니어링
코부사장
∙ 채택률 87%
공사, 공무, 관리 : 근무를 위한 여건 조성(군대에서 전투근무지원을 생각하면 됨) 품질 : 공사팀의 시공 검사, 품질시스템 구축 시운전 : MC 후 공장 가동을 위한 점검 및 업무 수행 공정과 같은 부서들이 있습니다.
2020.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