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 모든 회사 / 데이터분석가

Q. 사회학 석사과정이 데이터 분석에 메리트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인서울 대학 사회학 석사 과정 3학기에 들어서는 28세입니다. 막상 대학원을 와보니 박사는 제 길이 아닌 것 같아서 취준 계획을 세우고자 합니다. 이에 데이터 분석이라는 방향으로 나아가도 괜찮을지 여쭙고자 합니다.

현재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 분야 : IT기업 관련 조직사회학 연구를 계획 중
분석 경험 : 통계 분석 경험 多(STATA사용) / AI를 이용해 유튜브의 음성과 텍스트를 분석한 경험 존재. 둘 모두 논문 형식으로 완성(출판X)
코딩 능력 : 유튜브 기초 강좌 수준. (1년~1년 반 동안 꾸준히 학습할 예정)
관련 자격증 : ADsP (추가 취득 예정)

여쭙고 싶은 것은 제 배경이 데이터 분석에 메리트가 있는가? 입니다.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남은 1년을 데이터 분석에 맞는 스팩을 쌓는 기간으로 보내고자 합니다. 현재 기준으로는 많이 부족하지만, 흔히 통용되는 스팩을 취득한 경우를 기준으로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4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사회학 석사 과정에서의 배경은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메리트를 가질 수 있습니다. 특히 IT 기업 관련 조직사회학 연구를 계획하고 있으며, 통계 분석 경험이 풍부하고 AI를 활용한 프로젝트 경험이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요소입니다. 데이터 분석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사회학적 관점은 데이터 해석에 깊이를 더할 수 있습니다.

코딩 능력을 향상시키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은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분석 직무에서는 통계적 지식, 프로그래밍 능력, 데이터 시각화 기술 등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남은 1년 동안 이러한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유익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배경과 계획을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 분야로의 전환은 충분히 가능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기술과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쫑롱롱
코차장 ∙ 채택률 85%

안녕하세요,
취업 준비로 고생 많으십니다.

데이터분석쪽으로 충분히 스펙 보완하신다면 지원 가능합니다. 석사를 하시는 동안 통계분석 경험을 활용하여 실제 결과물 낸 경험이 있으므로 활용하여 데이터분석쪽으로 준비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다만 분석 경험만으로 다른 통계학 전공생들과 경쟁하기에는 더 보완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남은 기간 관련 통계실습,프로젝트등으로 스펙업한다면 충분히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꼭 합격하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도 부탁드려요 ^^


채택
S
SMIM
코과장 ∙ 채택률 93%

안녕하세요, 주변에 사회학 전공 지인들에게 들은 이야기를 토대로 말씀드리는 점 이해 부탁드리겠습니다. 현실적으로 학업 지속이나 연구 쪽이 아닌 취업으로 나아가고자 하실 경우 사회학 석사생으로서 데이터 분석으로 스펙업하는 것이 시간 및 노력 대비 메리트는 그리 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데이터 분석을 1) R, SPSS 통계 프로그램 2) PYTHON 등 코딩 활용의 두 가지 분류로 생각한다고 할 때 1)이 가능한 케이스는 정말 많습니다. 학사생 신분이라고 할지라도 R, SPSS 수업을 수강하여 프로그램을 돌릴 수 있는 학생들은 정말 많아 크게 메리트를 갖기 어렵고 2)의 경우 전공생뿐만 아니라 다양한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을 통하여 코딩 가능한 인력들이 너무 많이 있습니다.

또한 ADsP의 경우 비전공생인 학사생들이 방학을 이용하여 1~2달 정도면 취득하는 수준이라 이를 스펙이라고 하기에는 살짝 무리가 있다고 보입니다. (자격증을 무시하는게 아니라 질문자님의 분석 경험이나 논문 등을 보았을 때 이걸 왜 굳이 땄지? 생각드는 자격증입니다.)
ex) 중국에서 10년 거주한 사람이 한자 7급 자격증을 땄다고 하는 느낌..?

제가 질문자님의 상황이고 취준으로 확실히 방향을 튼다면
현재 상태에서 취업에 필요한 베이스 (어학 + 인적성) 를 만들고, 여유가 있다면 공모전 등에 한번 참여해보시고 지금까지의 경험을 활용하여 (향후 졸업 논문을 기업 관련 컨설팅, 데이터 분석 측으로 했다고 스토리라인을 잘 다듬어) 하기와 같은 곳들에 지원할 것 같습니다.
1) 공기업 - 연구원 / 대학교 교직원 - 입학사정관 (보통 석사 필수)
2) 사기업 - 컨설팅 (학벌 + 체력이 받쳐주는 경우) / HR / 경영기획 / 마케팅


채택
탈출탈출탈출해
코사원 ∙ 채택률 100%

데이터 분석도 결국 실무단에서는 코딩능력이 중요합니다. 포트폴리오 정리 잘해보세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