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회학 석사과정이 데이터 분석에 메리트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인서울 대학 사회학 석사 과정 3학기에 들어서는 28세입니다. 막상 대학원을 와보니 박사는 제 길이 아닌 것 같아서 취준 계획을 세우고자 합니다. 이에 데이터 분석이라는 방향으로 나아가도 괜찮을지 여쭙고자 합니다.
현재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 분야 : IT기업 관련 조직사회학 연구를 계획 중
분석 경험 : 통계 분석 경험 多(STATA사용) / AI를 이용해 유튜브의 음성과 텍스트를 분석한 경험 존재. 둘 모두 논문 형식으로 완성(출판X)
코딩 능력 : 유튜브 기초 강좌 수준. (1년~1년 반 동안 꾸준히 학습할 예정)
관련 자격증 : ADsP (추가 취득 예정)
여쭙고 싶은 것은 제 배경이 데이터 분석에 메리트가 있는가? 입니다.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남은 1년을 데이터 분석에 맞는 스팩을 쌓는 기간으로 보내고자 합니다. 현재 기준으로는 많이 부족하지만, 흔히 통용되는 스팩을 취득한 경우를 기준으로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코딩 능력을 향상시키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은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분석 직무에서는 통계적 지식, 프로그래밍 능력, 데이터 시각화 기술 등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남은 1년 동안 이러한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유익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배경과 계획을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 분야로의 전환은 충분히 가능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기술과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