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건축기사(시공) 진로 질문드립니다.

올해 29입니다. 여름까지 구조설계사무소에서 일하다가 1군건설사 건축시공직으로 이직해야겠다고 마음 먹고 퇴사했습니다. 하지만 건설경기가 너무 안좋더라구요.. 이번 하반기 신입 공채 모두 떨어졌습니다.. 그래서 지금 생각한 경우가 3case 있습니다.

case1. 도급순위 30위권 현채직(공사비 2000억규모 주택현장) 면접을 보러가기로했습니다.(프로젝트계약직은 신입을 전혀 안뽑고 현채직도 겨우 연락왔네요..) 여기서 경험을 쌓으면서 30살까지 영어공부하면서 준비한다.

case2. 중소기업 정규직을가서 추후 경기회복되면 경력으로 이직한다. (현재 도급순위 50위~100위는 신입을 안뽑네요.. ㅠㅠ)

case3. 건축시공직무를 포기한다. (현재 건설사 채용은 바늘구멍입니다.. 문과보다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스펙은 정량적으로 갖춰졌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상황에서 건설사만 고집하는게 바보갖긴합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스펙이 궁금한 경우 답글 남겨드리겠습니다.

답변 8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건축기사(시공) 진로에 대한 여러 가지 경우를 고려하고 계신 상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Case 1: 도급순위 30위권 현채직 면접을 보러 가는 것은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해당 직장에서 경험을 쌓는 것은 향후 이직이나 경력 개발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영어 공부를 병행하는 것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2. Case 2: 중소기업 정규직으로 진입하는 것도 고려할 만한 옵션입니다. 경기 회복 시점에 맞춰 경력을 쌓고, 이후 더 큰 기업으로 이직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에서의 경험도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습니다.

3. Case 3: 건축시공직무를 포기하는 것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현재의 건설 경기가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할 때, 다른 분야로의 전환도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본인의 관심과 적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경우의 장단점을 잘 분석하시고, 본인의 목표와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시면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어느정도 스펙이 되시는것 같은데 현채직은 추천은 드리고 싶지 않지만 case 2,3 보다는 case1이 맞는거 같습니다.
일단은 면접부터 보고 어학이 어느정도인지 모르겠으나 다시 준비하는게 좋긴하겠습니다. 건설사는 어학 확실히 많이 봅니다.



댓글 0
만숭이
2024.12.08
인서울 4년제, 건축기사&안전기사, 오픽 im1 입니다. 오픽을 어느정도까지 올려두는게 좋을까요?
하나린0417
코이사 ∙ 채택률 99%

안녕하세요

1번이 현실적으로 좋아보이네요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인턴이라면 1번을 추천드리지만 현채직의 경우 계약직과 같기 때문에 저는 비추천드립니다. 나이상 아직 1년정도는 더 도전을 하실 수 있어서 2번이 아니라 다음을 노리는 것을 추천합니다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6%

현채직은 향후 커리어상 제대로된 경력 인정받기 어려워서 개인적으로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경력을 생각하신다면 차라리 2번이 휠씬 나은 선택이 되실 수 있습니다. 2번으로 하셔서 경력관리를 잘하신뒤에 대기업으로 점프업하시기 바랍니다.


랄랄라아이티
코상무 ∙ 채택률 100%

3은 너무 아쉬울 것 같고.. (물론 요새 건설경기가 안좋긴 하지만, 정말 멘티님이 원하시는 분야라면 30까지는 도전해보는 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무래도 1아니면 2일 듯 한데, 현채직 근무하면서 다른 공고를 노려보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case 1 추천드립니다.


쫑롱롱
코차장 ∙ 채택률 84%

안녕하세요,
취업 준비로 고생 많으십니다.

case 1 : 개인적으로 경험쌓고 이직하실거면, 현채직을 추천드립니다. 현장경험, 실무경험을 쌓는건 자소서와 면접에서 큰 강점으로 다가올수 있습니다. 그 안에서 본인의 전문성, 역량을 활용해서 현장업무 개선 등 , 해결방안 경험을 잘 정리하고 활용한다면 이점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도급순위 상위권이고 단기간으로 하고 회복때 다시 지원하는것이므로 경험쌓는걸 추천드립니다.

case 2에서 경력으로 이직을 하려면 1년보다는 기간이 더 길어질거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case1에서 단기간 역량을 더 쌓고 경기회복후 지원하시는걸 추천드리며, 현장경험이 정말 큰 이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꼭 경기회복되면 합격하시면 좋겠습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도 부탁드려요 ^^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저는 2번 추천드립니다.
이직을 하는건 직무적 경험이 필요한데요, 그럴려면 2번이 가장 낫습니다.

중소기업이라고 이직이 안될까 걱정하시는데요, 다른거 하는 것보다 유사 직무 경험을 쌓는게 낫습니다.
중소기업이라고 이직이 안되는거 아닙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