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경영관리 직무

안녕하세요. 경영관리 직무에 관해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1) 주/월/분기/연간 주기별 실적 분석과 같은 업무가 주된 편인가요?
2) 사업관리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3) CPIM, 물류관리사, 빅데이터분석기사 자격증을 보유 중인데 직무와 직간접적인 연관성이 있을까요?

답변 5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경영관리 직무에서는 주기별 실적 분석이 중요한 업무 중 하나입니다. 주간, 월간, 분기별, 연간 실적을 분석하여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성과를 평가하는 데 기여합니다.

2) 경영관리와 사업관리는 서로 다른 초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영관리는 조직 전체의 성과와 효율성을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두며, 사업관리는 특정 사업 부문이나 프로젝트의 운영과 성과를 관리하는 데 집중합니다.

3) CPIM, 물류관리사, 빅데이터분석기사 자격증은 경영관리 직무와 직간접적으로 연관성이 있습니다. CPIM은 생산 및 재고 관리에 대한 전문성을 나타내며, 물류관리사는 물류 및 공급망 관리에 대한 지식을 제공합니다. 빅데이터 분석기사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 경영관리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전사업, 여러개 대사업의 매출, 비용을 년별로 비교하기도 하고매출, 이익이 감소한 사업은 중사업 영역의 DATA를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표 작성 계획하기도 하고 사업관리는 설계나 품질등 여러 부서의 관리 및협력 업체 계약 관리(기성 검토 및 지급, 추가공사 비용 협의 등), 공정관리(일별, 월별 진척도 관리, 지연 시 지연방안 수립 등을 담당합니다.
빅분기는 데이터 직무로 데이터 적인 통계역량을 어필 가능합니다.


삼성전자 멘토
코상무 ∙ 채택률 82%

1) 경영관리 직무는 말씀하신 지표 관리 업무가 주된 업무입니다. 회사 규모에 따라서 경영관리 부서 내에서 재무 회계 등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사업관리와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사업관리는 사업개발, 신사업기획 등의 롤을 맡는 반면, 경영관리는 숫자 중심입니다.
3) 물류와 빅데이터 모두 경영관리 직무와 밀접하게 닿아있는 자격증입니다.


일타강사
코과장 ∙ 채택률 64%

제가 경험했던 제조업들의 경우 1번 업무가 대부분이었습니다, 모든 부서들의 실적이나 향후forecast같은 부분에 대한 지표들을 취합받아 하나의 덱으로 만들고 보고서 만들고 보고하는 식이었떤 것 같아요. 경영관리 업무 중 하나가 사업관리였는데, 비즈니스와 직접적으로 연계된느 영업/마케팅 등의 부서와 함께 좀더 commercial한 부분에 치우친 분야의 해당 업무가 사업관리였떤 것 같아요. 아니면 다른 회사에서는 좀더 전략쪽으로 포커싱 된 부분이 사업관리라고 불려질 것 같은데 경영관리와 큰 차이는 없어보입니다.
3번의 자격증들과 엄청난 관련이 있지는 않을 것 같아요, 말그대로 경영관리는 뒷단에서의 지원부서입니다.


구블리
코대리 ∙ 채택률 70%

1) 네, 주된 업무 그 이상으로 루틴적으로 꼭 있어지는 업무입니다.
2) 사업관리는 사업 단위죠, 프로젝트 단위나 부서 단위이기 때문에 그 사업의 시작과 끝을 관리한다 생각하면 됩니다. 경영관리는 보다 조직, 회사 차원이 큽니다. 사업들이 모여 경영이 되는 것이니 좀 더 다루는 정보가 방대하고 단위가 큽니다. 정책이나 수치 위주로 다루기에 현장 상황을 생각보다 알기도 어렵습니다.
3) 간접적인 연관성은 있습니다. 경영관리는 정해진 자격증이 없기 때문에 해당 자격증들은 다 도움이 됩니다. 다만 어느 회사, 어느 조직, 어느 시스템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극대화가 될 것 같아서 일반화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