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기술 업무는 일반적으로 교대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근무 형태는 각 기업의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부 기업은 일근로 형태로 근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대기업의 경우에도 공정기술 업무의 근무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므로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구체적인 근무 형태는 해당 기업의 채용 공고나 인사 담당자에게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일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신
신뢰의마부
두산에너빌리티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삼성전자는 공정 기술이 결함문제등 확인하고 문제처리하고 야간을 Swing 근무자라 하는데 인계합니다. 교대근무입니다. 공정개선 활동, Defect 관리(Wafer 불량 관리), 장비 진행 중에 문제가 생긴 affected Wafer를 처리하는 업무가 있습니다. 야간에 진행된 웨이퍼(wafer)중 문제가 발생해서 홀드 된 것, Defect(결함)이 발생한 것들을 처리합니다. 보통 이러한 문제들은 공정 문제인지, 장비 문제인지 확인합니다.
다
다시 돌아온 상
코미코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멘티님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산업마다 다르긴하나 밤새 돌아가는 설비를 가진 산업은 교대가 필수입니다.
공정상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정상 문제가 없는지 양산 상태를 분석합니다. 양산 중 이슈가 발생하면 이를 캐치해서 해결하는 트러블슈팅 업무도 수행합니다.
나아가 공정 파라미터를 변화시켜 공정효율을 향상시키기도 하고요.
도움이 된 답변이라면 채택 부탁드려요!
취업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화
화이팅CL2
SK하이닉스
코차장
∙ 채택률 95%
안녕하세요.
공정기술이라고 하더라도 어떤 부서에서 일하느냐에 따라 나뉩니다.
24시간 공장이 돌아가므로 누군가를 관리를 해주어야하니까요.
저희는 보통 초반 신입구성원들이 교대를 하다가 반년 정도 연차가 쌓이면 통상으로 바뀌는 것 같습니다.
부서에 따라 당직개념도 있고 부바부가 심하네요.
중요한건 공장은 24시간 운영된다는 겁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남양연구소
현대자동차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공정이 24시간 돌아가는 회사 및 부서라면 교대근무입니다. 공기라도 부서마다 약간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졸
졸린왈루
(주)KEC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멘티님.
대기업의 경우 대부분 교대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24시간 라인이 돌아가기 때문에 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공정기술의 역할도 필수이기 때문입니다.
멘티님의 취업에 좋은 결과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조급해하지마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코과장
∙ 채택률 89%
사무직 말씀하시는거죠? 사무직은 보통 교대는 아니고 주간 근무만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공정기술 업무는 일반적으로 교대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근무 형태는 각 기업의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부 기업은 일근로 형태로 근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대기업의 경우에도 공정기술 업무의 근무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므로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구체적인 근무 형태는 해당 기업의 채용 공고나 인사 담당자에게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일 것입니다.
2024.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