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공정자동화교육이 생산기술직무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요?
제가 공정 자동화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해서 교육 중입니다. 이곳에서 1. 프로그래밍 기초 2.제조로봇 및 제조공정 모델링 3.데이터 처리 및 알고리즘4.주변 장치 제어 및 네트워크 5.PLC기반 제조공정 제어 및 네트워크 6.ROS기반 로봇 개발환경 구축 7.자율주행로봇 구현 프로젝트 8. 다관절로봇 제어 및 응용 9. 다관절 로봇 연동제어 구현 프로젝트10. AMR연동제어 구현 프로젝트 11.제조로봇 통합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을 할 예정입니다. 생산기술 및 공정기술 쪽 직무를 생각하고 있어서 이 활동들이 현장에서 많은 도움이 될 지 알고 싶습니다. 이차전지 산업을 희망하는데 요즘 산업 자체가 어려워서 소재, 에너지쪽으로도 기업을 보고 있기에 이 경험이 괜찮은 지도 궁금합니다. 화공기사 실기를 준비하고 있고, 신소재공학을 전공으로 졸업했지만 기계공학에서 편입했습니다. 생산기술 등의 엔지니어 직무가 주로 기계, 전기 쪽에서 많이 뽑다 보니 전공이 신소재인게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2025.03.19
답변 0
아직 등록된 답변이 없어요.
undefined님! 첫 답변을 남겨보세요.
함께 읽은 질문
Q. 인문계고졸 중소기업 입사vs전문대 진학
대학교3학년 중퇴 23살(만22살)(군필) 중소기업은 반도체 유지보수 하는 일이고 화성에 있어요 무스펙인데 가족 아는분 소개로 갈수 있고요 vs 대겹 생산직이 목표인데 제가 마이스터/공고 졸도 아니고 일반 인문계고졸 내신이 좋지 않아서 산기나 어학 스펙 쌓아도 초대졸 애들한테 밀릴것 같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학점세탁(?)도 할겸 초대졸 학위를 받기위해 1년반~2년 동안 스펙 쌓고 취업 시장 뛰어들고자 합니다 솔직하게는 전 후자를 윈합니다 제가 전자의 경우를 택해서 그 회사 들어가놓고는 퇴사를 하게 되면 (가령 1,2년 후)그때돼서 전문대를 들어가자니 나이가 너무 찼을테고(시간낭비 일것같아서요) 내년에 전문대 전기과 합격은 했고요 가서 도전해볼까요? 특히나 생산직은 직무 막론하고 한 살이라도 어릴때 하는게 좋으니깐요
Q. 디자인 비전공자가 디자인직 취업
1. 문구/캐릭터/굿즈 디자인 2. BX디자인 창업 경험이 있고 이렇게 두 직무에 관심이 생겼는데 다만 디자인은 디자인 전공자 학위 필수인 경우도 종종 있고 20대 후반이라 걱정입니다. 혼자서 준비하다보니 좀 쳐지고 퀄리티도 낮은 것 같아서 학원가서 준비하려고 하는데 비전공자도 솔직히 취업이 되긴 하는지(괜찮은 스타트업이나 중견, 대기업) 궁금합니다.. 아니면 전공을 살린 쪽으로 준비하는게 나을 것 같기도 해서요ㅠㅠ
Q. 증권사 S&T 직무에 종사하시는 분께 여쭙고 싶습니다.
1. S&T 직무의 최근 과제나 중요한 역량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2. 세일즈, 트레이딩 으로 나눠서 생각할 때, 각각의 커리어패스는 보통 어떻게 되는지? 3. 면접 질문을 대비한다면 어떤 조언을 해주고 싶으신지...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