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면접답변 방향성에대해 질문드립니다.
경험: 화장품 토너패드 상품기획 1.화장품 기획 프로젝트가 흥미로운데 어떻게 기획했는지 말해봐라 -> 해당질문에서 저는 기획초기 제품선정부터 , 성분원료를 어떤것을 택했는지 , 왜택했는지 설명드렸습니다. 다 들어주시긴했는데 제가 느끼기에 너무 장황한기분이라 다 말해봐라. 라고하면 어디서어디까지 말해야하나요? 2.친해지고싶은사람/안친해지고싶은사람은 누구인가? ->이건 정말 저의 성향을 바탕으로 솔직하게 말씀드리면되나요? 3.인간관계가 안좋게 끝난친구누구? ->이건 뭐라고 답변해야 베스트인가요? 뒤늦게 스펙을 쌓느라 대부분이 개인프로젝여서 어떤 사회성을 보려는 질문이 많이 들어왔습니다. 인간관계에 대한 질문은 어떻게 답변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ㅜ
2024.10.14
답변 3
함께 읽은 질문
Q. 하반기 대비
안녕하세요, 멘토님들. 이번 년도 2월에 졸업한 공대생입니다. 졸업을 하고 나서 취업준비에 뛰어들었습니다. 여러 대기업에 이력서를 제출했었지만 결과는 삼성SDI 한 곳만 서류합격을 했습니다. 열심히 면접까지 준비해서 면접을 봤지만 결국엔 최종탈락을 하게 되었습니다. 스스로 돌아보며 들은 저의 서류 불합격 원인은 스펙 부족인 것 같았습니다. 인턴 경험도 하나도 없고 기사 자격증도 하나도 없습니다. 이제 9월에 하반기 채용 공고가 올라오기 전까지 어떻게든 스펙업을 하고 싶습니다. 단기 인턴이든, 자격증이든 어떻게든요... 1. 일단 9월 안에 당장에 준비해서 딸 수 있고 직무와 관련된 자격증이 있는지 있다면 어떤 자격증을 추천하시는지 궁금합니다. 2. 1티어 스펙이 인턴 경험이나 직장 경력이라고 생각하는데 9월 안에 할 수 있는 단기 인턴을 어디서 찾아볼 수 있을까요? 3. 단기 인턴을 찾게 되면 직무와 상관없는 인턴이어도 하반기 때 도움이 될까요?
Q. 일본 호텔 업무
일본의 호텔로 진로를 계획하고 있는데 한국과의 호텔과의 차이점이나, 일본 호텔에서는 사람을 고용할 때 어떠한 점을 중점으로 두고 고용하는지 등등이 궁금합니다 !
Q. 학부 졸업 후 계약직 1년 추천하시나요?
안녕하세요, 고민거리가 하나 있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올해 해외에서 경제학으로 학부 졸업하고 구직을 하던중 외국계 투자은행 중 (해당 국가에서 TOP4) 한곳에서 애널리스트 서포트 하는 trainee 직무에 합격한 상태인데 해당 직무를 시작으로 커리어를 쌓을지 정규직으로 바로 갈지 고민이 되는 상태입니다. trainee 포지션은 1년짜리 계약직이라 해당 직무가 경력으로 인정 되는지 궁금하고 만약 1년 근무했을때 다른 기업의 정규직에 지원할때 플러스 요인으로 크게 작용할 수있을지 궁금합니다. 주요 업무는 기업 재무제표 업데이트, 내부 시스템 등록 / 시장 조사 / 신용평가 자료 준비 및 지원인것 같아요. 현재 나이가 27살 (만 26살)이라 1년 계약으로 근무하다가 경력이 단절되지 않을까도 두렵습니다. 추후 커리어는 재무/경영 관리 쪽으로 나아가고 싶어요.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