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반도체 디자인 하우스 PI/PD 직무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디지털 회로설계 취준생입니다. PI PD 직무에 관심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PI 직무는 타이밍, STA PD 직무는 레이아웃, P&R 위주의 직무로 이해했습니다. 제 경험을 생각해봤을 때는 PI 직무에 더 핏하다고 생각됩니다만, 커리어 측면도 생각하고 싶습니다. 두 직무 모두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하지만, 추후 이직을 고려했을 때(흔히들 말씀하시는 대기업 메모리나 파운드리 등등의 이직을 고려했을 때), 어떤 직무가 메리트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2024.10.23
답변 1
- 칸칸칸이삼성전자코차장 ∙ 채택률 69%
채택된 답변
안녕하세요 일단 PI / PD 직무는 잘 알고 계신 것 같아요 제 주변 경험으로 커리어 측면을 말씀 드릴게요. PI: 실력 있는 엔지니어는 미국으로도 많이 넘어가더라고요. 실리콘벨리에서는 회로설계 엔지니어보다 PI 엔지니어 몸값이 더 높다는 말도 있어요 PD: Layout 실력자들도 대우 잘 받아요. 삼성 뿐만 아니라 모든 기업이 그러겠지만, 레이아웃을 외주로 맡기는 경우가 있거든요. 이때 한건당 수천만원 정도 합니다. 두 직무 모두 메리트 우열을 가릴 수 없을 정도로 메리트 있으니 본인에게 맞는 직무 선택하시면 될 것 같아요
함께 읽은 질문
Q. 하향이직 그래도 하는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환승이직을 앞두고 고민되어 여러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ㅜㅠ 전 4년째 계약직만 해왔고.. 33세여서 이제 서류합격도 쉽지가 않습니다 그간의 경력은 의료행정이라 같은 산업이 아니면 점프가 힘들단걸 느꼈어요 막상 최종면접에선 경력이 있어도 탈락을 반복.. 설자리가 없더라구요 그러다 이번에 중소회사(상장사긴 함)의 제가 최종목표햇던 직무 정규직 합격은 했는데, 회사간판이 안되는점.. 특근수당 취급없는점. 연봉 100 삭감이 걸려 이직결정을 못하고 있습니다 그동안은 계약직이여도 들으면 아는 회사만 다녔는데.. 지금 이곳을 가면 정규직 이라는 것과 목표헷던 직무인거 빼고는 내 장기커리어가 이수준으로 귀결되는거 아닐까 고민이 매우 큽니다 직무 자체는 전문직 면허가 없는 단계에서 뚫기 힘든 팀이기는 한데 회사가 작으니 그만한 경력을 쌓을수 있을까 싶구 그렇다고 재직중인 4개월 남은 계약직은당연히 추가적 이점은 없고.. 사회선배님들의 고견 무엇이라도 듣고싶습니다 ㅠㅠ
Q.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인턴
안녕하십니까. 운영계획서를 검토하면서 재료기술센터의 과제지원과 시험평가 직무 간 역할의 차이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 이렇게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계획서 상으로는 과제지원은 세라믹이나 전자재료 등의 표면, 기계적 특성 평가 및 내구성, 신뢰성 평가를 포함하고 시험평가는 전자재료, 무기재료, 환경재료 등에 대한 규격 이해 및 시험 분석 중심으로 설명되어 있었습니다. KTL이 제품과 소재의 성능과 안전성을 시험 및 평가하여 적합성을 검증하는 공공기관으로 알고 있는데 두 직무 모두 분석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업무 목적과 역할의 차이점이 있는지 명확히 이해하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Q. 초록집만 작성한 논문을 입사지원 때 기재할 수 있나요?
학부연구생으로 있을 때 초록집만 작성해서 낸 논문이 두건 있습니다. 학술 대회에 사용했고 이후 츄가적인 논문 투고는 없었습니다. 이러한 내용을 입사지원 시 논문으로 활용할 수 있울까요?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