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반도체 분야 교대근무
안녕하세요 반도체 취업을 고민중인 대학생입니다. 저는 그냥 반도체가 재밌어서 소자 시뮬레이션이나 어드밴스드 패키징 쪽으로 진로를 생각하고 있는데요. 이곳저곳에서 얘기를 들어보니 공정쪽은 다 교대 돈다, 박사도 교대 뛰더라 이러쿵저러쿵 소리가 많더라구요.. 제가 몸이 약한 편이라 교대는 하면 안될 것 같은데 그러면 그냥 반도체 말고 다른 분야를 잡는 게 맞는 걸까요? 현직자분들의 답변이 절실합니다.
2024.11.23
답변 5
- 취취업리스트(유튜버)현대자동차코과장 ∙ 채택률 95% ∙일치학교
채택된 답변
함께 읽은 질문
Q. ips직무
방위 산업에서 ips직무는 왜 데이터 분석역량이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Q. 객관적인 스펙평가 부탁드립니다
학교: 경희대 산업공학과, 기계공학과(복수전공) 8월 졸업예정 학점: 4.14/4.5 어학: 오픽 AL, 토익 990(만료), JLPT N1 인턴: 반도체 장비사 QA 인턴 6개월, 제약회사 QA 인턴 3개월 자격증: 없음 (하반기에 품질경영기사, ADsP, 빅데이터분석기사 취득예정) 수상: 없음 지원결과 삼성전자 DX 평분 서류 탈 현대차 아산 품질관리 서류 탈 LG에너지솔루션 품질 서류 탈 하이닉스 이천 양산기술 P&T 서류 탈 LX판토스 해외인턴(물류, 포워딩) 인적성 합(면접 대기중) 현대로템 철차품질 결과 대기중 기아자동차 품질보증 결과 대기중 물론 탑티어 대기업만 골라서 넣었고, 요즘 채용시장이 어려운 것은 알고 있지만, 지원한 회사에서 모두 서류 탈락을 한 이유를 찾아보려고 합니다. 자소서에서 충분히 어필을 하지 못한 것인지, 아니면 제 스펙에 부족함이 있는지 객관적으로 평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소서에는 반도체 인턴당시 불량률을 줄인 경험을 메인으로 썼습니다.
Q. 전기 관련된 졸업작품과 현장에서의 연계
안녕하세요. 에너지전기공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현재 졸업작품으로 “스마트홈 전기요금 예측 기반 전력 사용 최적화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으며, 아두이노와 제어 알고리즘을 활용해 ESS와 연계된 모델을 구현하려고 합니다. 다만 현업에서는 단순한 기술 구현 외에도 안정성, 경제성, 확장성, 유지보수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학부생 수준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라도 현업 관점과 조금이라도 맞닿기 위해 꼭 반영해야 할 핵심 포인트는 무엇인지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