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부전공
안녕하세요 현재 지거국 생명공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추후 대학원을 의공학 쪽으로 가고싶은데(MRI, CT 등 의과학or 의공학) 관련 대학원 랩실, 연구실 등을 알아보니 본적으로 코딩을 할 줄 알아야 하더라구요. (파이썬)
현재 학부연구생으로 있는 친구에게 물어보니 일부 랩실은 코딩을 할 줄 모르면 아예 안받기도
한다고도 하고요
현재 제가 편입을해서 (전적대 보건계열) 졸업까지 조금 빡빡한 상태입니다.
복수전공은 아예 1.5년을 더 다녀야 할 것 같아서 어려울 것 같고
+1년을 대학을 더 다니며
부전공으로 컴공이나 SW 또는 AI학과를 할 예정인데 (2년안에 졸업하려면 추후 22학점 이상씩 들어야해서
1년 더 다니면 조금 더 널널히 들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복수전공이 아닌 부전공도 랩실 또는 추후 기업에 가게 된다면 어느정도 메리트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물론 부전공을 안쳐주는 곳도 있지만 관련 직무로 갈 경우에...
바쁘실텐데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선 의공학 분야에 대한 관심과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열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의공학 분야는 매우 다양한 분야가 있어서 코딩 능력 또한 필요합니다. 하지만 모든 대학원 랩실이 코딩 능력을 요구하는 것은 아닙니다. 학부연구생으로 있는 친구가 말씀하신 것처럼 일부 랩실에서는 코딩 능력이 필수적인 경우도 있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코딩 능력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부전공이나 복수전공을 할지 여부는 개인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부전공을 하게 된다면 코딩 능력을 배우는 기회가 더 많아지고, 다양한 분야를 경험할 수 있어서 전공 분야를 넓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전공을 하게 된다면 랩실이나 기업 취업 시에도 더 다양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경력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전공을 안하더라도 랩실이나 기업에 취업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다만, 본인이 원하는 분야와 관련된 적절한 경력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인의 전공과는 관련이 없더라도 코딩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라면 관련 분야에서 취업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부전공을 안하고도 대학원 진학이 가능합니다. 대학원 진학을 위해서는 적절한 연구 경험이나 논문 등을 쌓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따라서 본인이 관심 있는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경험을 쌓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전공을 할지 말지는 본인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본인의 목표와 관심 분야를 잘 고려하시고 결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선택을 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4.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