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삼성 반도체 공정설계와 기술

안녕하세요
이번에 졸업한 석사졸 취준생입니다.

기계공학과지만 대학원에서 구리 메탈 증착(금속 배선)에서 공정 최적화로 더 우수한 uniformity를 위한 연구를 하였습니다.

1) 반도체 공정 설계와 기술 직무 중 어떤게 더 적합한가요?

2) 반도체 연구소와 파운드리나 메모리 사업부와의 차이가 어떤게 있을까요?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제가 경험한 바로는 반도체 공정 설계와 기술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공정 설계는 기술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공정 설계를 통해 얻은 데이터와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둘 중 어느 것이 더 적합한 것은 아니며, 둘 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반도체 연구소와 파운드리나 메모리 사업부는 조금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반도체 연구소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를 연구하고 개발하는 곳으로, 기존의 반도체 기술을 발전시키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반면에 파운드리나 메모리 사업부는 연구소에서 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실제 제품을 생산하는 곳으로, 대량 생산 및 판매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두 부서는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며, 연구소에서 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화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6%

1. 공정 최적화는 공기의 메인 업무기 때문에 무조건 공기로 지원하세요.
2. 파운드리나 메모리는 생산제품의 차이만 있고 그 어떤 차이도 없습니다. 연구소는 차세대 제품 선행개발하는 조직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화이팅CL2
코차장 ∙ 채택률 95%

안녕하세요.

공정설계에도 여러 부서가 있고
하이닉스 소자,R&D공정에도 금속 배선이나 박막 관련 부서가 있습니다.

석사하셨으면 공정설계로 지원하시는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해당 연구를 하며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 엔지니어로서 발휘한 인사이트와 직관을 어필하시면 됩니다.

반도체 연구소와 타 사업부의 차이는 개발 순서입니다.

연구-개발-양산.

연구소에서 파운드리와 비메모리 메모리 테크를 개발하고 각 사업부로 이관하면 그 기술을 토대로 타제품이나 수율을 향상하고 나머지 양산 쪽에 이관하여 제품을 제작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