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생산기술직무, 극i 퇴사고민

28살 생산기술직무 6개월차입니다
첫직장입니다

성격은 극i입니다 술 안좋아해, 친구없어, 그냥 공부만 계속 했고 공부가 제일 쉬웠고 잘했었습니다(경희대 기계과 4.2)

근데 취업을 하게 되니 공부처럼 혼자할수 있는 일은 거의 없고, 다 남들한테 부탁하러 다녀야하는 일뿐이고, 남탕에.. 군대문화에.. 보고를 위한 보고에.. 어깨는 점점 무거워지고 숨이 턱턱 막히기 시작합니다
시간이라도 여유가 있으면 모르겠는데.. 주말출근, 평일11시 퇴근을 밥먹듯이 해서 52시간이 꽉차서 회의실 컴퓨터로 무료봉사까지 하면서 일을 해도 여유가 없습니다

정말 회사에 올인하고 있는데도 뭐하나 제대로 되는게 없어서 무력감이 계속 듭니다
통장을 봐도 한숨만 나옵니다.. 4백정도 나오는데 이 돈 받고 이렇게 인생을 갈아넣는게 맞는건지 싶습니다 제가 배가 부른걸까요?

이 직무가 저랑 안맞는걸까요?
아니면 극i성격에 회사생활 자체가 원래 이런걸까요?
직무를 옮기면 좀 달라질까요? 직무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답변 7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먼저, 당신의 공부 역량과 성격을 고려하면 생산기술직무가 잘 맞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현재 회사에서의 업무 환경과 조직 문화가 당신에게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제가 추천드릴 수 있는 것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현재 일하는 회사에서 조금 더 잘 맞는 부서나 직무를 찾아보는 것입니다. 생산기술직무는 매우 다양한 분야가 있기 때문에, 당신이 더 잘 맞을 수 있는 분야가 있을 수 있습니다. 회사 내에서 이직을 할 수 있는지, 혹은 다른 회사에서 비슷한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지 찾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둘째, 조금 더 다양한 경험을 쌓는 것입니다. 현재 당신이 일하는 회사나 직무가 맞지 않아서 무력감을 느끼는 것이라면, 다른 분야나 업무를 경험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렇게 다양한 경험을 쌓으면서 당신이 더 잘 맞는 직무나 분야를 발견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행복과 만족도입니다. 현재 당신이 일하는 회사에서 행복하고 만족스러운지 고민해보시고, 자신의 가치관과 목표에 맞는 일을 하고 있는지 생각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어떤 일을 하더라도 항상 힘든 부분이 있을 수 있지만, 그 일을 즐기고 행복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힘들어도 그 일을 할 가치가 있는지, 또 다른 일을 할 때 더 행복할 수 있는지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추천드릴 수 있는 직무는 없지만, 당신의 역량과 성격을 고려하면서 다양한 직무를 탐색하고 새로운 경험을 쌓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힘든 상황일지라도 자신을 돌보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성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힘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6%

극i인데 사회적 e로 발달한 케이스들 엄청 많습니다.
사회생활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인데 저 또한 비슷한 케이스라 사회초년생때는 고민 많이 했는데 시간이 지나 익숙해지니 지금은 많이 괜찮아졌습니다. 시간이 해결해줄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채택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사실대로 말하면 신입이 월급정도 4백이면 많이 들어오는거라 볼수 있습니다. 물론 주말,평일도 11시까지니깐 근무 시간이 많아보이고 생기가 성격상 안맞는거 같고 설계로 옮기는걸 고려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채택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네 안맞는겁니다. 교대근무나 생기가 적성에 맞는 사람이 있습니다.
공부를 잘하셨으니 알앤디쪽으로 진로를 틀어보시면 될 거 같아요
알앤디는 평생 공부해야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채택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회사일을 해보셔서 아시겠지만,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은 회사 내에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다른 팀과 협업을 하거나, 양해를 구하는 등 이런 경우가 허다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성향이 일에 안 맞을 수는 있으시겠지만, 사회적 MBTI가 된다라는 말 처럼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성향이 바뀌는 사람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는 버텨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채택
각티슈
코사장 ∙ 채택률 82%

1. 근데 사실 회사의 일이 빡세긴 하지만 혼자서 할 수 있는 직무는 없습니다. 거의 대부분이 협업이 필수로 들어가는 부분입니다.
본인이 저렇게 혼자를 원하면 학교로 돌아가서 박사를 하고 교수쪽으로 가는게 맞습니다.
물론 직무에 따라 연구개발쪽은 공부는 할 수 있지만, 그래도 말씀하신 보고나 수직적인거는 거의 기본적입니다.


채택
블랙드래곤
코부장 ∙ 채택률 81%

회사의 대부분 일은 협업입니다 즉 일이 세분화 되어 있어 혼자 모든일을 처리할 수 없고, 협업을 해야 합니다. 협업을 하는 과정에서 동료의 이해를 구하거나, 자료를 요청하거나, 일을 요청하거나 등등 여러가지 일을 해야 합니다. 자신의 성격이 극i라고 한다해도, 회사에서 이를 보완할 기회가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즉 좀더 유연하고, 사교적이고, 외향적으로 바뀌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다만 평일 11시 퇴근은 문제가 있어보이나 혹시 위의 상사나 선배도 모두 11시에 퇴근하는지 확인해보세요. 상사나 선배 역시 11시 퇴근한다면 앞으로도 개선의 여지가 없으니 퇴사하는것도 고려할만 합니다.
6개월차에 세후 400 받는 것은 많이 받는 것입니다. 적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다만 워라밸을 생각하시면 돈은 적게 주더라도 퇴근이 칼같은 회사로 이직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