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서비스기획직무 비전공자 신입으로 직무 지원 시 부트캠프가 필수일까요?
부트캠프 수강해야지만 취업이 되는 경향인지, 아니면 스스로 서비스 분석하고 역기획, 서비스 혼자 기획해보는 등 직무 관련 책 보면서 독학하고 포트폴리오 완성해서 이력서와 함께 제출한다면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부트캠프 검색해보면 광고 또는 시간낭비였다, 도움 하나도 안됐다 이런 반응밖에 못봐서 부트캠프가 도움되었다면 어디꺼가 좋을지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 만 28 여자/이공계 졸업/첫 직장 생산관리 퇴사 후 데이터를 보며 인사이트 발굴하고 제안하는걸 좋아해서 서비스기획 직무에 관심생겼는데 제 이력에서도 작은 회사라도 입사가 가능할지요?ㅜ 더이상 어린 나이도 아니라서 직무 전환할수있는 마지막 기회이다보니 얼른 취업하고 싶어서 앞으로의 시간을 서비스기획자로 전직을 위해 알차게 잘 활용하고 싶어서 도움 요청 드립니다.. 업계 선배님들의 조언이 정말 간절합니다…
2025.02.10
답변 3
함께 읽은 질문
Q. 제약회사 연구원
안녕하세요, 현재 3-2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본전공은 스마트팜과학과이고, 유전생명공학과를 복수전공하고 있습니다. 7월부터 자대 식물기능유전체학 연구실에서 학부연구생을 진행중인데, 석사까지 할 만큼 식물에 큰 흥미가 없는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실험하는 것 자체는 나쁘지 않고, 혼자 일하는 걸 좋아하는 제 성격상 연구원이라는 진로는 계속 생각 중입니다. 그러던 중 제약회사 연구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약을 직접적으로 배워본 적은 없지만,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게 다가왔습니다. 그렇다면 대학원 진학은 필수일텐데, 화학쪽 분야로 진학하는 것이 좋을까요? 제 전공지식을 조금이라도 살릴 수 있는 분야 중에도 갈만한 분야가 있을까요? (ex. 면역학) 제약분야는 전혀 공부해본적 없고 식물 쪽만 공부한 상태로 이미 3년이라는 시간이 흘러서 걱정이 많습니다🥹 이외의 내용이라도 제약회사 현직자분들이 계시다면 아낌없는 조언 부탁드립니다💛
Q. 기계공학 학사, 인공지능 석사 취업 진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경희대 기계공학 학부 졸, 연세대 인공지능 석사 졸(이번 가을학기)입니다. 학부 성적은 3.56/4.3(백분위 7%)이며 한학기 제외 전액 장학금을 받았고, 일반기계기사 자격증이 있습니다. 기계공학관련하여 대외활동은 없습니다... 경험이라고 한다면 수업 중 팀플과제로 cad, solidworks를 통해 기구를 구현화한 경험이 있습니다. 대학원에서는 멀티모달 정보를 통합하여 시계열 데이터 예측 Ai 모델 구축을 졸업 주제로 삼았습니다. 이 모델로 개인적으로 자율주행 사이드 프로젝트도 진행했구요 . 석사 생활 중 한 회사의 기술보증기금 특허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4개월간 일을 한 경험도 있습니다. 기계공학에 ai를 접목한 직무에 도전하고 싶은데 기업들에서는 두 전공을 개별화하여 채용을 하고 있어 이도저도 아닌 것 같아 직무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현대차 R&D를 생각하고 있지만. 저를 어떤식으로 어필할지 모르겠네요.. 혹은 다른 기업의 적절한 직무가 있을까요?
Q. 퇴사가 너무 하고 싶어요 ㅠ
현재 6개웡 조금 넘게 회사를 다니고 있습니다. 영업지원 업무로 항상 비슷한 일만 기계처럼 하고 있는데.. 요즘 일이 너무 많아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는데요.. 생각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는지..; 예전에도 안 맞는 직무를 하며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목 쪽에 두드러기가 났었는데, 지금도 그렇게 두드러기가 나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원래 1년을 채우고 워홀가려고 했는데 이렇게 몸에서 반응할 정도니 빨리 퇴사 하는게 맞는가 생각도 들고... 퇴사하고 다시 취준 하려니 이렇다할 경력이 있는 것도 아니고 아직 어떤 직무를 하고싶은지도 모르겠어서 미치겠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