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연구개발직 이직 고민입니다. 보통 연구개발직 출장이 잦은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석사졸이고 중견 연구개발직으로 취업해 1년 차입니다.
제목처럼 연구개발직인데 출장이 자주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업무는 주로 단순한 제품 개선 및 제품 공정 개선입니다.
업무의 전문성이 매우 떨어지지만 업무 강도가 세지 않아 이직할 필요를 못 느끼고 있었는데요

치명적인 단점이 제품 pilot 설비가 다른 사업장에 있어서, 공정 개선 업무 시 타 사업장에 장기 출장을 가는 일이 있습니다. 공정이 24시간 진행되다 보니 새벽에 숙소를 오가는 일이 잦습니다.
그런데 사정 상 운전을 하는 게 어려워서 장기 출장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보통 연구개발직 종사하는 분들 출장이 자주 있으신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출장 가시는 경우 출장 빈도, 출장 기간이 며칠 정도인지, 야간 근무가 있는지, 업무는 주로 어떤 것을 하시는지 알고 싶습니다.

출장 외에는 이직 사유가 없어서 다니고 있었는데
연차가 오를 수록 출장 빈도가 많아져서 고민이 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5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인공지능 로봇이 답변을 작성하고 있어요
답변이 도착하면, 알림을 통해 알려드릴게요!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제가 중견기업 연구개발직에 근무 할때는 원청사에 출장이 있었지만 그대신 가깝기도 해서 장기숙박을하거나 그러지 않았고 업체에 방문하거나 해서 사무실에 올때만 출장보고서를 써야하니 야간근무를 많이 했던거 같습니다. 회사마다 특징이 있어서 안그런곳도 있습니다.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이건 진짜 부바부 회바회 입니다.
저는 이번이 두 번째 회산데 모두 알앤디 입니다.
출장을 거의 가본적이 없급니다.
제 주변 선후배만 봐도 그렇구요.

보컹은 거의 안갑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o
orienta
코사장 ∙ 채택률 70%

제품 및 소재 자체를 개발하는 연구를 주로 담당한다면 출장은 자주 없으나, '공정 개선' 이라는 알앤디 직무의 경우에는 출장이 자주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즉, 어떠한 연구를 하느냐. 그리고 그 산업 자체가 이론 보다 실전 적용 단계에서 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는 일인지. 그리고 이 자체에 대해 담당 역할을 수행하는 중간 부서가 존재하지 않느냐에 따라서도 크게 달라질 수 있겠습니다.


채택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6%

이건 회사의 상황에 따라 다른거라 정말 케바케입니다. 자사의 경우에는 별도 개발라인이 미흡해서 알앤디 직군도 실제 사업장(지방)까지 가서 샘플을 돌려야해서 출장이 상당히 잦은편입니다. 어느 조직에 속해있냐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는거라 꼭 직군에 따라 출장이 잦다고 단언하기도 어렵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