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기소개서 경력 사항 기입 관련
채용연계형 인턴 3개월 근무 후 정규직 전환되어 1개월 근무 후 퇴사했습니다.
짧은 근무 기간이 고민인 상황입니다.
동일 직무 신입사원으로 다시 취업 준비 중인데 이력서 경력사항에 인턴 생활 3개월만 작성할 시에 추후 문제가 발생할까요?
만약 문제가 된다면 짧은 경력 사항을 기입하기 보다 차라리 경력 없이 서류를 제출하는 것이 더 좋은 선택일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채용연계형 인턴 3개월 근무 후 정규직 전환되어 1개월 근무 후 퇴사했습니다.
짧은 근무 기간이 고민인 상황입니다.
동일 직무 신입사원으로 다시 취업 준비 중인데 이력서 경력사항에 인턴 생활 3개월만 작성할 시에 추후 문제가 발생할까요?
만약 문제가 된다면 짧은 경력 사항을 기입하기 보다 차라리 경력 없이 서류를 제출하는 것이 더 좋은 선택일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 채용연계형 인턴으로 근무하신 후 정규직으로 전환되셨다는 것 같습니다. 이 경우에는 근무 기간이 짧아도 경력 사항으로 기입하셔도 문제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다른 회사에서 채용 시에 근무 기간이 짧은 것이 마음에 걸릴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경력 사항을 기입할 때에는 인턴 근무 기간 뿐만 아니라 전체 경력 사항을 기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2019년 1월 ~ 2019년 12월까지 채용연계형 인턴으로 근무하였으며, 2020년 1월부터 정규직으로 전환되어 근무하였습니다."라고 기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만약에 여러 회사에서 채용 시에 이런 질문이 나온다면, 짧은 근무 기간이 어떤 이유로 발생했는지 자세히 설명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채용연계형 인턴으로 근무하신 후 정규직으로 전환되었지만, 전환된 직무와 자신의 관심 분야가 맞지 않아서 다른 곳에서 새로운 도전을 하고 싶었다거나, 회사의 경영 방향성과 본인의 가치관이 맞지 않아서 퇴사를 결정하셨다는 것을 설명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력서를 제출할 때에는 무조건 경력 사항을 기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력 없이 제출하시는 것보다는 경력이 있어도 짧은 근무 기간이 있었다는 것이 더 좋은 선택입니다. 하지만 이력서에 기입하는 내용은 모두 진실되고 정확해야 하기 때문에, 경력 사항을 기입할 때에는 자신의 경험과 이유를 정확하게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짧은 근무 기간이 고민이라고 하셨는데, 이는 새로운 도전을 하기 위해 퇴사하셨다는 것을 강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짧은 근무 기간이라고 해도 자신의 목표와 비전을 새로운 곳에서 이루기 위해 노력하신 것은 자랑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드릴 수 있는 조언은 여기까지입니다. 제 자기소개서를 읽어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리며, 새로운 도전에서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2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