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제조업 기반 기업에서

제조쪽 직무랑
영업 마케팅같은 문과 직무랑

어떤게 더 유리(?)한가요
나중에 승진이나 보너스 이런 측면에서요

답변 9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제조업 기반 기업에서 제조 직무와 영업 마케팅 직무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개인의 경력 목표와 회사의 구조에 따라 유리한 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조 직무는 일반적으로 기술적 전문성을 요구하며, 생산 효율성, 품질 관리, 공정 개선 등의 업무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직무는 안정적인 경력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술적 지식이 쌓이면 승진 기회가 많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너스는 성과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특정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영업 마케팅 직무는 고객과의 관계 구축, 시장 분석, 제품 홍보 등을 포함합니다. 이 직무는 성과 기반의 보상 체계가 일반적이며, 개인의 성과에 따라 보너스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영업 성과가 좋을 경우 빠른 승진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승진이나 보너스 측면에서 어느 직무가 더 유리한지는 개인의 역량, 회사의 문화, 산업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각 직무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인의 경력 목표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영업 마케팅이 보고 할일도 많아서 승진 같은건 잘되는 편입니다. 제조쪽이 잘될거 같지만 오히려 그렇지는 않습니다.



댓글 0
アイドル
2024.12.08
제조쪽의 상대적 장점은 뭔가요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승진은 직무의 문제가 아니라 내부에서 어떻게 일을 하냐이고 보너스도 내부성과에 따른 것이지 직무마다 다르지 않습니다. 보통은 영업쪽 분들이 상무와 같은 이사직을 많이들 하십니다


쫑롱롱
코차장 ∙ 채택률 84%

안녕하세요,
진로 고민으로 고생 많으십니다.

회사의 사정과 시황에 따라 다르긴하지만 영업직무가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다고 판단됩니다. (중장기적으로). 결국 회사는 수익과 매출,영업이익에 따라 실적이 달라지는데 영업이 그 활로를 뚫고 기회의 확대를 실현시키기때문에 KPI가 상당히 투명하고 확실합니다. 그것에 따라서 승진하고 보너스도 직결됩니다.

화이팅입니다.
도움이 되셨더라면 채택도 부탁드려요 ^^


화공쟁이컨설턴트
코사장 ∙ 채택률 82%

각 직무에서의 담당 업무 분야가 다르고 모두 다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직무입니다. 그러므로 직무 자체로 진급에 차이를 두기 어렵습니다. 리더나 임원 진급 여부는 해당 직무에서의 개인 역량이나 정치에 따라 결정될 뿐입니다. 입사 시 TO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이 적절할 뿐, 그 이상을 고민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한 회사에 근무하며 직무마다 급여의 차이는 없으며, 직급/직책 및 인사고과에 따라 처우가 달라지며 동일한 직급/직책/인사고과에서는 급여 및 인센티브가 동일합니다.


하나린0417
코이사 ∙ 채택률 99%

안녕하세요

영업은 승진 보너스측면에서는 유리합니다
문과일반적인 직무는 동일합니다.


랄랄라아이티
코상무 ∙ 채택률 100%

영업쪽은 승진이 좀 더 유리합니다.

숫자로 성과를 증명할 수 있으니까요. 대신에 제조쪽 직무도 성과를 잘 낸다면 충분히 승진 가능성 높습니다.


다시 돌아온 상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멘티님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이후 커리어나 승진은 후자가 유리합니다.

상급자들이랑 엮일 가능성도 높고 성과를 올리기에도 유리합니다.


도움이 된 답변이라면 채택 부탁드려요!


취업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졸린왈루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멘티님

승진이나 보너스 측면에서는 마케팅 등의 직무가 하는만큼 더 나옵니다.

멘티님의 취업에 좋은 결과 있길 바랄게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