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졸업하고 한게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기계공학과, 소프트웨어학과를 복수전공한 2024년 8월 졸업생입니다. 제가 졸업할때는 진짜 멍청하게 생각없이 졸업만 해버려서 그 때 취업 지원을 많이 못했는데요. 그때만 해도 게임개발 캠프에 참여해서 게임 개발자가 되려했는데, 몇번 지원해보고 서류랑 코테에서 떨어지니 괜히 마음이 바뀌어서 웹 개발쪽으로 가보려고 SSAFY에 지원했습니다. 그런데 또 그러다가 해외 인턴에도 관심이 생겨서 해외 인턴을 준비한다고 SSAFY를 나왔는데 결국 하나도 성공 못하고 매번 면접에서 탈락해버려서 이제는 졸업한지 6개월이 넘어갑니다. 그동안 이렇다할 스펙도 없고 지원하다가 떨어지기만 반복했어서 이젠 뭘 해야하나 고민이 많이 됩니다. 회사에 이력서는 넣어보는데 너무 중구난방으로 커리어를 쌓아와서 이제라도 기계기사랑 정처기같은거 따면서 배웠던거라도 복습해야하나 고민도 됩니다. 어쩌면 좋을까요?
2025.03.13
답변 3
함께 읽은 질문
Q. 호리바에스테틱코리아에서 외국 장비사 이직
SK하이닉스에서 주성,ASE,VM 등 고객사 라인 현장 필드 서비스 엔지니어 직무입니다. 해당 직무에서 경력 쌓은 후 중고신입으로 TEL, AMAT,LAM 이직 시 경력 인정 및 도움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Q. 학부연구생 vs 현장실습
현재 인서울 전화기 중 하나이고, 4학년 재학 중입니다. 반도체 공정 직무를 고민 중에 있고, 취업을 1순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번 여름방학 때 포스텍 한달 학부연구생 vs kist 두달 현장실습 중에 뭐가 더 괜찮을까요? 일단은 취업 고민중이라 스펙용이긴 합니다. 제가 실습 경험이 없어서 이를 채우는 목표입니다. 둘다 분야는 공정 기술 쪽이고 제가 구체적인건 아직 안정해서 분야는 둘다 좋은것 같아요.
Q. 인성검사 팁이 있나요 ..
인적성 검사에서 3번 연속으로 떨어지니 너무 심란하네요 .. 느낌 상 인성 때문에 떨어지는거 같은 촉이 계속 와서 궁금한 점 문의드립니다. 의견을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ㅜㅜ 1. 팀워크를 선호한다는 문항과 외향적인 성격을 가진다는 것을 같은 점수를 주는게 맞는건지 ex. 협력 or 팀워크를 선호한다. (팀워크) 새로운 사람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한다. (외향적인 성격) 2. 업무 수행 시 새로운 방식을 선호한다는 것과 팀 내 규칙을 반드시 지킨다는 것을 같은 높은 점수를 줘도 되는건지 3. 업무 수행 시 새로운 방식을 선호한다는 것과 새로운 걸 배우는 과정이 즐겁다는 것은 같은 점수를 줘야하는건지 4. 창의성이 강한것과 상상과 공상을 많이 하는 것은 같은 맥락인지 5. 창의성이 강하지만 이성적이고 현실적일 수 있는건지 이런것들이 너무 궁금합니다 ㅜㅜ 인성 검사를 하면서 자꾸 생각을 하면서 답을 찍게 되는데 이게 망하는 지름길인걸 알면서도 그렇게 하는 제가 너무 답답하네ㅜ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