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직무 선택 고민 : 품질부문 분석직무에 대한 조언을 받고 싶습니다.
지방대 /기계공학 /학점:4.33/4.5
(편입) 지방국립대/ 신소재공학/ 학점:3.78/4.5 이차전지 교육 프로그램 3회 /공정기술 직무부트 1회 /학부연구생 6개월/ 정출연 연료전지 인턴 4개월
저의 경우, 인턴과 학부연구생 모두 분석을 진행하여 실험 데이터를 얻었습니다.
인턴에서는 장비를 이용해 분석해, 셀 평가를 진행했고 최적화했습니다.
계속 고민 중에 있어,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품질분석-분석파트
• 분석실 관리
1.분석 SOP 정합화 (분석법, Gage R&R_고객사, 협력사) 2.장비 관리 (검교정, 유지보수, Utility, 분석 Capa, 이상관리) 등
품질분석-전지평가
• 평가실 관리
1 평가 SOP 정합화 (분석법, Gage R&R_고객사, 협력사) 2. 장비 관리 (검교정, 유지보수, Utility, 분석 Capa, 이상관리) 등
품질부문 분석직무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직무이며, 실제로 제조업체에서는 분석 결과에 따라 제품의 품질을 판단하고 생산 공정을 개선합니다. 따라서 분석 실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이 필요합니다.
저의 첫 번째 조언은 분석 실무에 대한 전문 지식을 쌓는 것입니다. 지방대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셨으며, 신소재공학으로 편입하셨다는 것을 보면 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지식은 이미 보유하고 있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제조업체에서 사용하는 분석 기법과 장비는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공정기술 직무부트나 학부연구생 경험을 통해 실무 능력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 조언은 분석 SOP를 정합화하는 것입니다. SOP는 분석 실무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고객사와 협력사와의 SOP를 통일하고, 장비 관리에 대한 SOP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분석 결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장비 관리를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조언은 장비 관리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장비는 분석 실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므로, 검교정, 유지보수, Utility, 분석 Capa, 이상 관리 등 장비 관리 업무를 철저하게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장비 관리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전지평가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지평가는 최근 매우 중요한 분야이며, 이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신 것은 좋은 선택이었습니다. 더불어 인턴과 학부연구생 경험을 통해 전지평가에 대한 실무 능력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관련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경험을 쌓는 것이 필요합니다.
위의 조언을 통해 품질분석 분야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지속적인 자기개발과 역량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발이 중요한 만큼, 힘든 일도 많지만 지속적인 노력과 열정을 가지고 분석분야에서 성장하시길 바랍니다. 화이팅입니다!
2024.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