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포괄임금제 야근수당

안녕하세요 올해 초 신입으로 입사한 초년생입니다.
근로계약서 작성 시 포괄임금제로 적혀있었는데
나중에 찾아보니 포괄임금제는 근로시간이 불규칙한 직무(공사 현장, 경비 등의 업종)에서 주로 쓰인다고 하더라구요.
저는 사무직이고 아직 입사 초라 야근을 해본 적은 없지만 다른 선배나 상사들을 보면 야근이 일상이었습니다.

질문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혹시 사무직에서도 포괄임금제 쓸 수 있는 건가요?
2. 야근 수당(제가 알기로 1.5배) 안주려는 의도 맞나요?
3. 탈출이 답인 거겠죠?

답변 6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사무직에서도 포괄임금제를 쓸 수 있지만, 주로 근로시간이 불규칙한 업종에서 사용되므로 사무직에서는 일반적으로 시급제나 월급제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2. 야근 수당은 근로자가 불규칙한 근로시간을 보상받기 위한 제도로, 기업이 근로자에게 주는 것이 아니라 근로자의 노력과 피로를 보상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야근 수당을 주지 않으려는 의도는 아니며, 근로자의 노동력을 보상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3. 야근 수당을 받지 않고 근로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근로자는 야근 수당을 받는 것이 정당한 권리임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만약 야근 수당을 주지 않는다면, 근로자는 사업주나 노동조합 등에 이를 호소하거나, 근로계약서나 근로기준법을 검토해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포괄있는기 대부분입니다.
없애려고 하는 추세이나, 삼성 현대 일반 사무직연구직 다 포괄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1.사무직도 포괄임금제 가능하고 건설업은 삼성물산,삼엔 빼고 대다수 포괄입니다.

2.그런의도도 있고 대기업도 그렇게 합니다

3.회사의 미래를 보고 결정하는게 좋습니다.


지난겨울
코이사 ∙ 채택률 100%

1. 사무직도 포괄임금제 쓸 수 있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2. 회사마다 다릅니다 고정 ot를 주는 회사도 있고요. 하지만 포괄임금제를 시행하는 회사에서는 초과 야근에 대해 올리기 어려운 게 일반적이라 직원보다는 회사에 유리한 제도 입니다.
3. 포괄임금제라도 야근을 올릴 수 있는 회사도 있습니다. 업무와 회사의 미래 비전을 보시고 결정하는 게 좋습니다. 생각보다 포괄임금제를 시행하는 대기업 포함 기업이 많습니다


오버더SKY
코사장 ∙ 채택률 89%

안녕하세요 멘티님
후... 사무직에 대해서 포괄임금제 적용은 윤석열 정부에서조차 그리 반기지 않는 사항인데 사업장에서 좀 너무하긴 합니다.
1. 이 부분은 사측과 노측이 합의하였을 경우 적용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는 피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2. 맞습니다. 사람을 덜 뽑기 위한 의도도 있습니다.
3. 선배님이 곧 멘티님의 미래가 됩니다. 멘티님께서 저 생활을 내가 할 수 있을까 생각해보고 아닌 것 같다라고 판단이 들면 빠르게 나와야 합니다.


각티슈
코사장 ∙ 채택률 82%

1. 포괄임금제는 어디든 쓸 수 있습니다.
2. 어느정도는 맞습니다만, 야근을 안하게 되도 받는거라 야근을 안하면 이득입니다.
그리고 포괄임금제인 회사 많습니다. 포괄을 안하면 그만큼 연봉이 줄어듭니다. 야근을 많이하면 포괄을 안하는게 낫고, 야근을 적게하면 포괄도 좋을 수 있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