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품질관리 직무
품질관리 직무에 있어서, 수익성 개선을 위해 할 수 있는 활동들이 머가 있나요? 제품 설계를 최적화 해서 생산단가를 낮추는거 말고는 잘 모르겠어요.. 빠른 품질문제 대응과 같은 추상적인 방법 말고 좀더 구체적이고 현업에서 쓰일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2024.10.14
답변 6
함께 읽은 질문
Q. 채용전제형 인턴 전환탈 공채 다시 지원해도 괜찮나요?
채용전제형으로 인턴했다가 전환탈락 했습니다. 직무 별로 인턴 1명씩만 합격했습니다. 여기에 다시 지원해도 될까요? 아니면 다른 계열사로 가는게 나을까요?
Q. 반도체 경험 관련해서 문의남깁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반도체 공정기술 양산기술 직무를 준비하고 있는 취준생입니다. 이번에 지원했던 인턴이 다 떨어지게되어 어떤점에 문제가 있는지 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제가 다음직무로 가기위해 6개월정도에 인턴을 진행했었습니다. 인턴기간동안 어플리케이션이 반도체는 아니었지만 PVD 스퍼터를 이용해서 다양한 물질의 박막을 형성하고 SEM분석을 통해 film의 안정성 그리고 증착속도, grain size등 다양한 부분을 고려하여 공정조건을 최적화하는 업무를 맡아왔습니다. 물론 이 경험을 통해 우여곡절도 겪고 문제점을 해결해나가며 이와 관련된 에피소드를 자소서에 녹였습니다. 하지만 결과가 좋지않네요. 과연 이경험이 공정기술과 양산기술에 핏한 경험이 맞을까요?
Q. 국내 대기업 취준 vs 외국계 대기업 취준
안녕하세요, 요즘 취준을 하면서 생긴 고민이 많아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제가 원하는 분야가 해외에서 많다보니 원래는 해외에 취업을 하고 싶어 국내에서 경험을 쌓고 경력 이직을 하고자 합니다. 국내 대학교 출신이라 당연하게 국내 기업들 위주로 취준을 하고 있고 공채 시즌이 끝나면 외국계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제가 어렸을 때 해외에 자라 영어와 중국어가 제 강점이지만 희망 직무 특성 상 사실 언어를 다양하게 잘한다고 어필되는 쪽은 아닙니다. 그나마 영어가 요구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부분은 해외대 출신 위주로 많이 뽑으시더라구여... 이런 경우 국내 대기업 취준에 유리할지, 아니면 외국계 대기업 취준에 유리할 지 조언을 들을 수 있을까요?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