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 · 모든 회사 / 무역사무원

Q. 곧 28살 이직 스펙 평가 부탁드립니다..

지방 4년제 영어영문학과 / 국제통상경영전공
학점 : 3.82 / 4.5
교내 장학금 4번 수여
국제통상경영전공으로 교환학생 1학기
서비스 아르바이트 4년
(교환학생 기간 제외 홀서빙 및 학원 등)
교원자격증2급
토익 850 토스 AL 오픽 IM2
초등학생 취득 ITQ, 컴활
(파워포인트, 워드 사용기간 10년이상)
국제무역사 대비 교육 수료 1회
무역실무 온라인 강의 수료 1회
물류관리 온라인 강의 수료 1회
코멘토 구매 직무 수료 1회
현재 좋소 선사(페리) 3년차
(컨테이너 수출입관리, 수출입 B/L, 월마감 미수금 등)


중견 선사나 포워딩으로 이직하려하는데
국무사랑 물류관리사 따고 이직 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현재 물류,SCM,해외영업쪽도 생각중인데
만약 위 3가지 직무로 이직한다면 어느쪽이 가능성이 더 높을까요... 인턴이나 대외활동 적다는거 압니다 어떤게 현재 상황에 저에게 가장 필요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답변 5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이직을 고려할 때, 현재 보유하고 있는 스펙과 경험을 바탕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1. 자격증 취득: 국무사와 물류관리사 자격증은 물류 및 SCM 분야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물류관리사는 해당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강조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따라서 이직을 위해 자격증 취득을 고려하는 것은 긍정적인 방향입니다.

2. 직무 선택: 물류, SCM, 해외영업 중에서 가능성을 따질 때, 현재의 경험과 스펙을 고려해야 합니다. 현재 선사에서의 경험은 물류 및 SCM 직무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이직 시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해외영업은 영어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므로, 영어 스펙이 우수한 점은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해외영업은 상대적으로 경쟁이 치열할 수 있습니다.

3. 대외활동 및 인턴 경험: 대외활동이나 인턴 경험이 부족한 점은 이직 시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관련 분야의 인턴십이나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관련 분야의 네트워킹 기회를 활용하여 인맥을 넓히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물류 및 SCM 분야로의 이직이 현재 경험과 스펙에 가장 적합할 것으로 보이며, 자격증 취득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적인 대외활동이나 인턴 경험을 통해 보완하는 것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경력 3년차에 토스도 AL이시고 전체적인 스펙은 무난한데 물류관리사만 취득하시면 될듯 합니다. 해외영업은 제2외국어 필수라 어려울거 같고 중견선사쪽이 맞을듯 합니다.



댓글 0
1
1TEU
2024.12.29
제2 외국어 없이 신입으로 해외영업쪽도 혹시 가능성 없을까요..?
랄랄라아이티
코상무 ∙ 채택률 100%

경력직 이직이신거죠?

그럼 자격증 없어도 괜찮습니다. 현재 선사에서 하고 계신 업무들만 잘 정리해서 경력기술서에 녹이시고, 성과 중심으로 자소서 스토리 만들어서 지원하시면 됩니다.
중고신입이라면 자격증 취득이 도움될 수 있어요.



댓글 0
1
1TEU
2024.12.29
팀으로 하다보니 그닥 성과가 없어서 경력기술서도 너무 어렵더라구요... 조언 감사합니다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네 말씀하신 자격증 취득을 하시는 것이 더 좋은 건 확실하며 어학을 조금 더 올리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경력이 있다보니 어학의 중요도가 다소 떨어지는 건 맞으나 어학은 고고익선이기 때문에 대기업평균인 IH정도는 맞추는 것을 추천합니다



댓글 0
1
1TEU
2024.12.29
감사합니다 혹시 물류관리사나 국무사 무역영어가 없어도 자소서에서 스토리 텔링 가능성이 있을까요..?
하나린0417
코이사 ∙ 채택률 99%

안녕하세요

경력이 있어서 굳이 국무사, 물류관리사를 따실필요는 없습니다
지금상태로 도전해보셔도 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