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모든 회사 / 생산기술

Q. (자동차 산업)생산기술 도면 해독 능력

설계전공이라 cad프로그램을 활용한 경험이 다수여서 이쪽으로 역량 어필하고 싶은데
1. 생기 담당자가 도면해석과 수정도 많이
하는걸로 알고있는데 도면 해석이라는 것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합니다.
제품 자체에 대한 도면인지, 공정 배치도에 관한 도면인지가 알고싶습니다.
2. 실제 현업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도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5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도면 해석은 일반적으로 설계 도면이나 기술 도면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제품의 형태, 치수, 재료, 조립 방법 등을 포함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도면을 포함합니다. 도면 해석은 제품 자체에 대한 도면뿐만 아니라, 공정 배치도와 같은 생산 공정에 관한 도면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기 담당자는 제품의 설계 도면과 함께 생산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고려한 공정 배치도도 해석하고 수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실제 현업에서는 도면 해석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생산 과정에서 설계 도면을 기반으로 부품을 제작하거나 조립할 때, 도면의 정확한 해석이 필요합니다. 또한, 생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면을 수정하거나 최적화하는 과정에서도 도면 해석 능력이 요구됩니다. 이와 같은 작업은 품질 관리, 생산 효율성 증대, 비용 절감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데셈버
코대리 ∙ 채택률 91% ∙
직무
일치

네 안녕하세요. 생산기술팀에서 이제 3년차로 재직중인 사원입니다. 우선 제가 하는 현업에서 설계능력은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예를들어 라인 셋업을 진행할때는 생산라인 레이아웃을 보면서 Auto Cad를 쓰기도 하면서 양산라인에서 생산에 필요한 지그를 설계할때도 설계 툴 능력이 필요하고요. 라인 셋업을 하면서 새롭게 생산을 하는 제품의 2D 도면과 3D 도면을 보면서 양산성 검증을 하기도 합니다.

제품 자체의 도면도 맞구요. 공정배치도에 관한 도면도 맞습니다. 실제로는 제가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다양한 곳에서 쓰이는데요. 저는 생산기술이다 보니 설비를 셋업할 때 신기술이나 신공법들을 검토할 때 업체들한테 외주를 주고, 그에 대한 도면을 확인하면서 내가 원하는 설비를 잘 구축했는지 미리 검토해보기도 하며 실제로 라인에서 셋업을 하기 전에 미리 보는 역할도 하기도 합니다.

아무튼 대학생활에서 열심히 했으면 업무에 와서는 충분이 잘 적응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화이팅입니다.


채택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1.도면의 라인의 간섭이나 내부 BOM 지그 같은 사양 확인 같은도면의 이해 도면은 배치도 관련도 있고 지그 같은 금형도 있습니다.

2.도면 확인수정 업체에 발주 업체 견본 이상 여부 확인 협의 및 확정 실행시 다시 수정 반복 등 입니다.


채택
출근하기싫어
코부장 ∙ 채택률 80%

생산기술이면 제품의 도면을 보고 설비의 스펙을 결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높이가 100인데, 설비가 80까지밖에 커버가 안된다고 하면 안되겠죠.
여기서 도면을 보고, 공차 등을 고려해서 설비가 균일한 품질을 가지고 생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해서 도면 해석이 필요한 것입니다.
설비나 공정 배치도도 보긴 하는데, 전체 플랜트에 대한 거라기 보다는 생산량을 본다고 하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공정 배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생산량도 달라지니까요.


채택
데셈버
코대리 ∙ 채택률 91% ∙
직무
일치

네 안녕하세요. 생산기술팀에서 이제 3년차로 재직중인 사원입니다. 우선 제가 하는 현업에서 설계능력은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예를들어 라인 셋업을 진행할때는 생산라인 레이아웃을 보면서 Auto Cad를 쓰기도 하면서 양산라인에서 생산에 필요한 지그를 설계할때도 설계 툴 능력이 필요하고요. 라인 셋업을 하면서 새롭게 생산을 하는 제품의 2D 도면과 3D 도면을 보면서 양산성 검증을 하기도 합니다.

제품 자체의 도면도 맞구요. 공정배치도에 관한 도면도 맞습니다. 실제로는 제가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다양한 곳에서 쓰이는데요. 저는 생산기술이다 보니 설비를 셋업할 때 신기술이나 신공법들을 검토할 때 업체들한테 외주를 주고, 그에 대한 도면을 확인하면서 내가 원하는 설비를 잘 구축했는지 미리 검토해보기도 하며 실제로 라인에서 셋업을 하기 전에 미리 보는 역할도 하기도 합니다.

아무튼 대학생활에서 열심히 했으면 업무에 와서는 충분이 잘 적응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화이팅입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