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 · 비상교육 / 교재개발

Q. 교육출판계 직무 경험

안녕하세요. 역사과 졸업해서 임용고시 준비중인 25살 여자입니다.
올해까지는 임용 준비를 해보겠지만, 혹시 잘 되지 않는 경우에는 교육출판사 교재개발 관련한 쪽으로 취업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취업을 위해서 경험을 쌓아야한다면
1순위로는 출판사 인턴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기나 기회 여건이 되지 않아 불가능하다면
대학교 조교와 기간제 교사 중 어떤 경험이 더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답변 5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교육출판사 교재개발 분야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관련 경험이 중요합니다. 출판사 인턴이 가장 직접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지만, 만약 인턴 기회가 없다면 대학교 조교와 기간제 교사 각각의 장단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대학교 조교는 교육과정 및 학습 자료 개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교수진과의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반면, 기간제 교사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교재의 실용성을 이해하고, 학생들의 학습 요구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결국, 두 경험 모두 유익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상황과 목표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재개발에 필요한 특정 기술이나 지식이 무엇인지 고려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기간제 교사가 직접적인 학생 들과 맞다아 있다보니 낫다는 생각이 듭니다. 대학교는 별도의 교과과목에 대한 사교육이 없으나 교생분들이나 선생님들은 직접적으로 부딫치기에 어떤 유형이 빠른지도 알수 있습니다.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대학 조교를 추천을 드리는 것이 기간제 교사는 인턴과 같은 경험이 되는 것이 아니라 취업을 한 것과 같은 것이 됩니다. 따라서 이것이 멘티분의 첫 커리어가 될 것이며 그로 인하여 멘티분이 평가절하 될 수 있기 때문에 비추천합니다.


채택
랄랄라아이티
코상무 ∙ 채택률 100%

기간제 교사가 좀 더 도움될거에요.
교재개발이다보니 실제로 교육업에서 근무하신 경험이 있다면 플러스입니다. 조교는.. 사실 거의 아르바이트와 비슷해서 큰 도움 안됩니다.


채택
라미123
코사원 ∙ 채택률 100%

경험을 쌓고자 하시면 둘다 도움이될 것 같습니다만 취업할 때 더 대우해주는 경력은 아무래도 기간제 교사일 듯 합니다. 본인도 사학과 졸업 후 여러번 조교로 근무했는데 막상 기업에 면접으로 보거나 지원서를 작성할 때에는 조교 경력을 잘 대우해주지 않았던 경험이 여러번 있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