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 · 삼성전자 / 공정기술

Q. 공정기술

공정기술희망하는 지거국화학공학과 학생입니다

4학년을 앞두고 있는데 딱히 반도체공정기술과 관련된 아무런 스펙이 없어서

학부연구생경험이라도 하려고 하는데요

저희학과 교수님들은 주로 태양전지(패브로트스카이프?) ,환경관련된 교수님, 나노구조관련된교수님 유기나노복합소재등등..

이런 분야의 교수님이 많이 계시고 뭔가 반도체공정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연구하시는 교수님은 안계시는데요ㅜㅜ 이럴 경우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일단 가능한 비슷한 학부연구생들어가서 어떠한 성과를 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건지, 등등이 궁금합니다

학부연구생을 스펙으로서 생각할때 어떤 생각을 갖고 어떻게 자소서나 스펙으로서 녹여내야하는지도 반도체 공정기술 직무에 적합하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7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학부연구생 경험은 연구 능력과 실험 기술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반도체 공정기술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연구가 없더라도, 유사한 분야에서의 경험은 유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노구조나 유기 나노복합소재 연구는 반도체 기술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학부연구생으로서의 경험을 스펙으로 활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연구 경험 강조: 연구 과정에서의 역할, 사용한 기술 및 방법론, 실험 결과 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십시오. 이는 문제 해결 능력과 분석적 사고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2. 기술적 스킬: 연구를 통해 습득한 실험 기술이나 소프트웨어 사용 능력 등을 강조하십시오. 반도체 공정기술에서도 필요한 기술적 배경이 될 수 있습니다.

3. 팀워크 및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대개 팀 단위로 진행되므로, 팀 내에서의 협력 경험과 의사소통 능력을 부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연구의 연관성: 연구 주제가 반도체 공정기술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십시오. 예를 들어, 나노구조 연구가 반도체 소자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언급할 수 있습니다.

5. 자기소개서 작성: 자기소개서에서는 위의 요소들을 종합하여 자신의 연구 경험이 반도체 공정기술 직무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전달하십시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학부연구생 경험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흰수염치킨
코이사 ∙ 채택률 80% ∙
회사 직무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멘토 흰수염치킨입니다.
학부연구생은 안해도 돼요
연관없는데서 연결을 찾으려고 하지마세요
다른 거 하면 돼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_^


탁기사
코사장 ∙ 채택률 83% ∙
회사 산업
일치

유사한 질문을 올리신것 같은데 타 과 학부연구생도 추천합니다. 전자나 물리 그리고 신소재쪽 반도체다루시는분이요. 사실 요즘 중고신입도 많고 취업이 어렵다보니 반도체유관경험 가지신분이 워낙많아 학사라도 전지보다는 반도체공정 하는걸 추천드리며, 학부연구생에게 많이시키진않습니다. 교수님이 시키시기보다도 석사밑에서 데이터뽑고 공정다뤄보고 간단한걸 주로시키므러 홈페이지들어가서 전지보다는 공정관련 연구추천합니다.



댓글 0
w
wjsqnreo
2024.12.26
전지보다는 공정관련연구가 무슨말씀인가요?ㅠㅠ 혹시 소자다뤼는 교수님들도 결국 반도체 공정일까요?
도다리쑥국
코부장 ∙ 채택률 75% ∙
회사 산업
일치

찾아보니 전북대 산학협력단이 있네요. 이 곳을 통해서 정출연이나 관련 기업들에서 산학인턴을 도전해보시는 건 어떨까 추천드려요



댓글 0
w
wjsqnreo
2024.12.26
혹시 공정관련된 교수님들도 한번만 봐주실수있을까요ㅠㅠ
d
do__young
코상무 ∙ 채택률 59% ∙
회사 산업
일치

말씀하신 랩실 중 1번 3번 랩실은 반도체 공정과 꽤나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공정 분야가 정말 석사/박사 학생들도 자기 연구 분야와 다른 일을 하는 일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였으면 나노구조관련된교수님(정확히 모르지만)의 랩실에서 학부연구생을 하여, 저희 회사 반도체 연구소 같은 직무를 타겟할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려요 ㅎㅎ!


채택
M
Memory Department
코상무 ∙ 채택률 82% ∙
회사 산업
일치

지원자님, 안녕하세요~ 반도체 공정기술 직무를 희망하며 고민하고 계신 것 같네요! 먼저, 학부연구생 경험을 쌓으려는 결심부터 훌륭한 시작이에요~

교수님들의 연구 분야가 반도체 공정과 직접적이지 않더라도 괜찮아요~ 태양전지, 나노구조, 유기 나노복합소재 등은 반도체와 연결되는 부분이 충분히 있어요. 예를 들어, 나노구조 연구는 반도체 공정에서의 미세 패턴 형성 원리와 유사한 점이 있고, 태양전지는 반도체 물질의 특성과 공정 기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돼요~!

학부연구생으로 들어간다면, 특정 연구 주제에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실험 설계를 개선한 경험을 만들어 보세요~ 반도체 공정기술은 문제 해결 능력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중요한 직무라서, 연구 과정에서 이런 역량을 키우는 것이 핵심이에요~

자소서에 스펙을 녹이는 방법으로는, 연구 경험을 반도체 공정기술에 어떻게 연관시킬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풀어내는 게 중요해요. 예를 들어,

"태양전지 소재의 박막 증착 실험에서 다양한 변수(온도, 시간 등)를 조정하여 최적 조건을 도출했습니다. 이를 통해 공정 변수에 따른 결과 분석과 문제 해결의 경험을 쌓았습니다."
"나노구조 연구에서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고 프로세스를 개선하며, 공정 최적화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이는 반도체 공정기술에서의 제조 공정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지원자님의 경험을 반도체 공정의 핵심 요소와 연결해 주세요~ 또, 학부연구생 성과를 자소서에서 강조할 때는 단순히 실험을 따라 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분석하고 개선한 점을 부각하면 더욱 좋습니다~!

응원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려요~!


졸린왈루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반도체와 관련된 학부연구생을 하는게 가장 좋은데, 아니라면 직무라도 맞추시는게 좋습니다.

즉, 공정기술이 불량을 해결하는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어떤 현상에 대해서 원인을 추적하고 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연구실을 택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