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삼성전자 / 공정설계

Q. 삼성전자 공정기술엔지니어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포토 공정기술 엔지니어 지원하고자하는 학생입니다.
공정기술 직무에 관하여 여쭙고 싶은 사항이 있습니다.
1. 공정기술엔지니어에서 10년차,20년차에는 무슨일을 하나요?
2. 공정기술 엔지니어가 공정 최적화를 해나가는 프로세서는 공정 변수의 영향을 생각하고 컨트롤하며 스펙 인이 될 수있도록 다양한 조건을 시도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맞을까요?
3. process maintanance가 공정기술 엔지니어의 업무중 하나라고 알고 있는데 process maintanance가 무엇인가요?
감사합니다.

답변 4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포토 공정기술 엔지니어 지원해주신 학생님.

1. 공정기술 엔지니어는 10년차, 20년차에도 여러 역할을 맡게 됩니다. 주로는 기존 공정의 개선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게 되며, 새로운 공정 개발 및 도입, 기술적 문제 해결 등 다양한 과제를 맡게 됩니다. 또한, 주변의 팀원들을 지도하거나 새로운 인력을 교육하며 팀의 리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맞습니다. 공정 최적화는 공정 변수의 영향을 파악하고 조절하여 스펙 인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실험과 시험을 진행하며,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절한 조건을 찾아내는 역할을 합니다.

3. process maintenance는 공정 기계 및 설비의 정기 점검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업무입니다. 공정 기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발생할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기계의 수명을 연장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한 역할입니다.

삼성전자 포토 공정기술 엔지니어로서 많은 역할과 책임을 맡게 될 수 있지만, 그만큼 더욱 흥미로운 도전이 될 것입니다. 항상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를 파악하며 역량을 강화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레시피를 전달하는 전도사(레전s)
코과장 ∙ 채택률 72%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질문에 답변 드려봅니다.

[질문] 공정기술엔지니어 10년차, 20년차는 무슨일을 하나요?
[답변] 보통10~20년차는 직장-마스터(부장,이사,상무)레벨 입니다. 메인 업무는 기술 로드맵을 바탕으로 한 전략 수립 및 수행 입니다. 예를 들어 3나노 양산 제품 A가 개발되었고, 수율 50% 정도에서 양산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더 좋은 수율을 바탕으로, 더 나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테스트를 통해서 더 나은 솔루션을 찾아가야 합니다. 경쟁사 대비 나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전략을 구성하는 레벨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질문] 공정을 최적화해 나가는 것이 공정 기술엔지니어의 직무 인가요?
[답변] 보통 삼성 같은 경우 공정개발팀과 공정기술팀이 있습니다. 만약 공정개발팀이 3나노 특정 제품의 공정 레시피를 최적화를 시키고 양산팀으로 이전 시킵니다. 그러면 그 최적화 된 레시피를 토대로 양산화를 진행하고, 여러가지 변수 때문에 공정 스펙이 벗어났을 경우 문제를 찾아 내는 것을 공정기술팀이 하고 있습니다.

[질문] Process maintanance 가 무엇인가요?
[답변] 말 그대로 '공정관리' 입니다. 첫 번째로 반도체 장비가 셋업이 됩니다. 두 번째로 반도체 장비를 실제 웨이퍼를 돌릴 수 있게 환경이 되었는지 테스트 합니다. 이 때는 NPW(Non-pattern wafer)를 통해서 여러가지 테스트를 거치게 되는데 이 테스트를 진행 하는 팀이 공정기술팀 엔지니어가 하게 될 것 입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채택
코칭E
코부장 ∙ 채택률 65%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1. 보통 10년차 이상분들은 리더급이라 관리자 역할을 합니다.
2. 네 맞습니다.
3. 기술팀 엔지니어가 PM을 직접하진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채택
탁기사
코사장 ∙ 채택률 83% ∙
회사 직무 산업
일치

1. 10년 20년차에도 양산고질불량해결, 양산수율관리가 메인업무입니다. 경험이 많이쌓여 새로운 이슈가나오더라도 누구보다빠르게 대응가능하겠죠

2. 네 맞습니다. 여러공정파라미터를 고려하여 개선하고 수율관리가 주 업무입니다.

3. 공정흐름이 process고 이것을 유지한다는말입니다. 즉 양산과 매우가깝게 위치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