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 · 삼성전자 / 모든 직무

Q. 공정기술 공정설계 차이

공기와 공설 직무의 차이가 궁금해요!

반도체 관련 학과 졸업 예정이고 학점은 4.2/4.5
반도체 공정실습 2회 진행
빅데이터 관련해서 네이버 클라우드 자격증도 취득하고
반도체 산업 빅데이터 분석 입문 프로그램에도 참여하고
미니탭 사용해서 통계내는 것(?) 정도 해본것같아요

1-2학년 때 기획서나 사업계획서 작성으로 스타트업 경진대회에서 수상하기도 했고
서포터즈나 기자단 같은 대외활동을 많이 했어요
초등학생 교육봉사 포함해서 2년간 봉사단에서 봉사도 하고 표창도 받았었구요

공정실습 중 리쏘공정에 관심이 커져서
이번 동계방학동안 대학원 연구실 인턴했는데
DMD나 PMMA, SLA 관련해서 많이 공부하고 실험 진행했습니다.

인턴 지원하면서 경험을 정리해보니 직무 관련으로는 직접적인 활동이 없고
수많은 대외활동과 20건이 넘는 수상경력만 있어서 고민이에요...
공기와 공설 중 어떤 것이 더 적절해보이나요?

추가로 메모리 공설과 반연 공설 TO도 많이 차이나는지 궁금해요

답변 6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

공기와 공설은 반도체 공정에서 각각 다른 역할을 담당합니다.

공기는 공정기술 엔지니어로서 반도체 제조 공정을 설계하고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장비, 물질, 공정 조건 등을 연구하고 개발하며, 최적의 공정을 설계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반도체 제조 공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기술적 지식이 요구됩니다.

반면, 공설은 공정설계 엔지니어로서 공정기술 엔지니어가 설계한 공정을 실제로 구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장비를 운영하고 관리하며, 공정 중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최적화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공정 운영에 대한 실무 경험이 요구되며, 공정 중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석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공기는 공정 설계에 더 초점을 둔 업무이고, 공설은 공정 운영에 더 초점을 둔 업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에서는 메모리 공설과 반연 공설 TO는 각각 다른 업무를 담당합니다. 메모리 공설은 DRAM, NAND 등의 메모리 칩을 생산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반연 공설 TO는 반도체 칩의 반도체 반도체 공정에서 반도체의 양이나 부품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각각 다른 전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탁기사
코사장 ∙ 채택률 83% ∙
회사 산업
일치

반도체공정관련 인턴이나 프로젝트가 있어야 두 직무 모두 입사가 유리합니다. 공정기술은 8대공정 중 하나에배치되어 양산관리 및 트러블슈팅을 진행하고 공설은 8대공정 전체트렌드를보거나 소자개발을 합니다. 즉 집중적인1개파는게 공정기술이고 전체를 넓게보는게 공설인데 보통 공설이 스펙이 조금 더 높습니다. 수상격력보다도 직무역량 필살기가 1개잇어야좋을것같습니다.



댓글 0
그린티프라푸치노
2024.03.14
직무역량 필살기라면 역시 인턴이나 현장실습뿐이겠죠?
재육보끔
코부장 ∙ 채택률 65% ∙
회사 산업
일치

공기 : 공정에 더 치우침
공정 : 소자가 메인
쉽게 요약하면 위와 같습니다. 기업 인턴이 없어도 대학원 인턴을 하셨으니 크게 문제 없으십니다. 자소서 첨삭하시면서 퀄리티만 높이시면 됩니다.



댓글 0
그린티프라푸치노
2024.03.14
소자면 전자/전기관련 학과가 더 우세한편인가요?
채택
황금파이프
코부사장 ∙ 채택률 80%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학점/경험사항/데이터분석 역량 등 스펙이 굉장히 좋으십니다.

공정실습뿐만 아니라 DMD, PMMA, SLA 등 최신 기술을 많이 접하시고 실험까지 하셨으므로 충분히직무와 연관된 경험이라고 보여집니다.

메모리 공설과 반연 공설은 채용 시기마다 다르고 인원은 비슷한 편입니다.



댓글 0
그린티프라푸치노
2024.03.14
리쏘 공정 최적화하겠다 이런 포부는 공정기술을 희망할때 쓰는건가요..? 공정설계를 희망할때에 회사에서 이루고 싶은, 본인의 포부는 어떤 내용이 포함되는 걸까요..?
제가 공정기술 직무를 희망할때 가져야하는 포부를 공설에 지원하면서 쓰는건지 걱정되서요ㅜㅜ
화이팅CL2
코차장 ∙ 채택률 95%

안녕하세요.

공정설계는 회로설계에서 2D로 로직을 작성한 것을 웨이퍼 위에 3D로 구현하기 위하여 모든 Process flow를 설계하고, 전체 schematic 상에 트랜지스터나 저항, 캐퍼시터와 같은 소자 하나하나를 개발하는 device팀, 공정 중에 발생하는 불량들을 분석하고 원인을 찾는 fa팀, 3D로 구현하기 위해 마스크를 제작하는 LDR 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 단위공정과 소재들을 연구개발하는 팀도 있겠습니다.

공정기술은 단위공정에서 문제가 없이 개발과 양산 제품들이 생산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레시피, 장비 점검 등).

정확히 학부생 때는 관련 경험이 공정설계, 공정기술 둘 중 하나로만 맞춰지는 경우는 드뭅니다. 반도체에서 공정과 데이터 분석 등이 안쓰이는 곳이 없기 때문입니다.

원하는 일이 무엇인지 잘 고민해보고 어떻게 하면 설득력있는 자소서를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해보세요.

참고로 메모리/반연 공설 TO는 ㅁ매번 바뀝니다.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공정설계가 공정기술보다는 고스펙인 분들이 많아서 멘티분의 경험을 보면 공정기술이 더 낫다고 생각을 합니다. 많은 활동을 하시기는 하셨지만, 직무와는 연관성이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저는 설계보다는 기술쪽이 멘티분이 지원하시기에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0
그린티프라푸치노
2024.03.14
막연하게 공정설계 직무를 희망하면서, 리쏘 공정에 배치되고 싶다는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그럼 공정기술을 쓰는게 맞는건가요?
리쏘 공정 최적화하겠다 이런 포부는 공정기술을 희망할때 쓰는건가요..? 공정설계를 희망할때에 회사에서 이루고 싶은, 본인의 포부는 어떤 내용이 포함되는 걸까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