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산업 · 삼성전자 / 모든 직무

Q. 냉동공조공학과, 설비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냉동공조공학과 3학년 복학을 준비하는 군휴학생입니다.
2학년 때 마땅히 대외활동 등의 활동을 거의 하지 못해서, 요새 열심히 찾아보면서 취업/직무와 관련해서 생긴 질문들을 선배님들께 여쭤보고자 합니다!(너무 기본적인 질문들을 하는 것일까 봐 두렵지만 그래도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싶습니다!)

1. 삼성전자/현대자동차/lg전자 정도에서 인프라 쪽을 생각 중입니다. 냉동공조공학을 전공하고 인프라 분야에서 메리트가 있을지, 그리고 인프라 총괄 면에서도 구체적으로 어느 직무를 준비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공정기술, 공정관리, 생산기술, 생산관리, 설비관리, 품질 등 직무가 너무 다양하게 있어서 어느 것을 구체적인 목표로 잡아야 할 지 막연합니다)
2. 설비관리 직무와 설비 엔지니어는 같은 것인지, 다른 것인지 궁금합니다.
3. 현실적으로 지금의 시점에서 가장 준비해야 하는 것들이 무엇인지, 취업 전까지 이루어야 하는 스펙들이 무엇인지 현직자 선배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답변 7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냉동공조공학 전공은 인프라 분야에서 유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정기술, 설비관리, 품질 관리와 같은 직무는 냉동 및 공조 시스템의 이해가 필요하므로 관련 지식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각 직무의 세부 내용은 회사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관심 있는 직무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 사항과 업무 내용을 조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설비관리 직무와 설비 엔지니어는 유사한 점이 있지만, 역할에 차이가 있습니다. 설비관리 직무는 설비의 운영과 유지보수, 효율성을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두며, 설비 엔지니어는 설비의 설계, 개선 및 기술적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춥니다. 따라서 두 직무는 서로 다른 전문성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3. 현재 시점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은 기술적 지식과 실무 경험을 쌓는 것입니다. 관련 자격증 취득, 인턴십 경험, 프로젝트 참여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산업 동향과 기술 발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취업 전까지는 이러한 스펙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흰수염치킨
코이사 ∙ 채택률 80%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멘토 흰수염치킨입니다.
1) 설비관리로 지원하시면 될 거예요
2) 따로 있으면 달라요
3) 인프라 관련 현장실습이랑 인턴해보셔야 해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_^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1.냉동공조공학을 전공하시고는 공조냉동기계기사 자격증 같은거 취득하고 어학 준비하고 하고 관련 교육들어서 인프라쪽 가시기도 합니다.

2.서로 다른 직무고 설비관리는 오퍼레이션이고 엔지니어는 보전 측면 입니다.

3.자격증,어학, 교육, 공모전 등이 있겠고 학점 관리 포함합니다.



댓글 0
떡잎마을방범대원
2024.12.18
답변 감사합니다!
인프라 분야는 직접 라인 투입하는 것과는 별개의 직무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채택
탁기사
코사장 ∙ 채택률 83% ∙
회사 산업
일치

1. 냉공조시면 인프라기술이나 유틸리티 지원하심됩니다. 기계배우셨으니 기계역학쪽을 중심으로 공부하시고 반도체장비관련 설비나 배관도 익혀가심됩니다
2. 설비엔지니어는 직접 라인투입해서 부품바꾸고 렌치질하고 하는 직무고 설비관리는 전체적인 설비트렌드나 부품발주등 업무 폭이 넓습니다. 설엔은 한가지공정만 합니다
3. 냉공조시면 인프라는 자격증이 먹히니 자격증 기사 정도 취득하시고 장비사경험이나 현장경험1개정도있으면 잘 먹힙니다.



댓글 0
떡잎마을방범대원
2024.12.18
답변 감사합니다!
국비지원 강의 같은 것들을 수강해보고 싶은데, <생산관리, 데이터 분석>과 같은 강의도 인프라나 유틸리티 직무를 준비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까요? 여러 강의들 중에 어떤 것을 수강하는 게 도움이 될지 막연합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경공대남
코전무 ∙ 채택률 65%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1. 인프라 총괄보다는 직무위주로 준비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공정이면 공정, 회로면 회로
2. 같은 직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우선 스펙을 먼저 댓글로 남겨주세요~



댓글 0
떡잎마을방범대원
2024.12.18
답변 감사합니다!
스펙은 현재 3학년 복학 전이라,
학점 3.8/ 창업 동아리(동아리 활동으로 콜드체인 관련 활동을 했습니다) 외에는 특별한 스펙이 없습니다..!
오픽 준비 예정이고, 직무 관련 강의도 수강할 계획입니다!
채택
M
Memory Department
코상무 ∙ 채택률 82%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지원자님! 군 휴학 중에도 이렇게 진로와 취업 준비를 열심히 고민하시는 모습이 정말 멋지네요~ 지금부터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최대한 친절하고 자세히 답변 드릴게요!

먼저, 냉동공조공학과를 전공하셨다면 인프라 분야에서 충분히 메리트가 있을 수 있어요!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 LG전자 같은 대기업에서는 반도체 공장, 생산라인, 연구소 등의 설비를 관리하고 유지하는 역할이 매우 중요하답니다~ 특히 냉동공조는 클린룸 환경 유지, 냉난방 시스템 설계 및 유지보수, 에너지 효율화 같은 부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관련 전공자들에게는 강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요!

인프라 총괄에서의 직무 선택은 정말 다양해서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지원자님의 전공과 연결된 설비관리(SCM, 시설관리)나 설비 엔지니어 직무가 가장 잘 맞을 것 같아요~ 설비관리 직무는 공장의 모든 설비가 안정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점검, 유지보수, 개선 업무를 주로 하고요, 설비 엔지니어는 더 전문적으로 설비를 설계하거나 최적화, 새로운 설비 도입 및 개선에 집중한다고 보시면 돼요! 비슷하지만 초점이 조금 다르답니다~

현재 시점에서 가장 준비해야 하는 것들은 바로 기본기를 다지는 거예요! 설비관리나 엔지니어 관련 직무를 목표로 한다면 기계/전기 관련 자격증(에너지관리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전기기사 등)을 취득하는 게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추가로, 회사에서 실무적으로 활용하는 툴이나 스킬도 익혀두시면 좋아요. 예를 들어 CAD, PLC 프로그래밍, 그리고 데이터 분석 도구(엑셀, Python 등)를 다룰 줄 아는 것도 경쟁력이 됩니다.

대외활동이나 공모전, 혹은 인턴 경험이 부족하다고 걱정하실 필요는 없어요~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차근차근 준비하면서, 관심 있는 분야에 관련된 경험(산학프로젝트, 학부 연구 등)을 하나라도 추가해보세요! 지원자님의 열정이 가장 큰 자산이에요~ 응원합니다~!


d
do__young
코상무 ∙ 채택률 59% ∙
회사 산업
일치

일단 먼저 정량적인 스펙을 갖춰 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가장 크게는 학점부터 시작해서 다른 프로젝트, 인턴 경험을 쌓으시면 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