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삼성전자 / 모든 직무

Q. 삼성전자 공정설계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공정설계 지원 예정인 취준생입니다
다름이 아닌 공정설계 잡디를 읽어도 잘 와닿지 않아 질문 드립니다
공정설계 직무는 최적 공정 조건 개발이고, 공정기술 직무는 공정레시피 셋업이라고 들었습니다. 이 둘의 구체적 차이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답변 6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또한 공정설계 직무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공정설계 직무를 위해 준비해야 할 공부나 경험이 있다면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공정설계 지원 예정인 취준생님.

공정설계 직무는 공정 개선 및 개발을 위해 공정 조건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반면, 공정기술 직무는 공정 레시피를 셋업하고 유지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둘의 구체적 차이는 공정설계 직무는 공정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고, 공정기술 직무는 이미 개발된 공정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둔다는 것입니다.

공정설계 직무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은 다양한 공정에 대한 이해와 분석 능력, 문제해결 능력, 협업 능력 등입니다. 공정설계는 많은 변수와 복잡한 공정을 다루기 때문에 체계적인 사고와 논리적인 분석 능력이 요구됩니다. 또한, 다른 부서와의 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좋은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협업 능력도 중요합니다.

공정설계 직무를 위해 준비해야 할 공부나 경험으로는 공정공학, 화학공학, 재료공학 등과 같은 관련 학과를 전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삼성전자의 공정 개발 프로세스나 공정기술 관련 도서를 참고하고, 실제 삼성전자의 공정을 살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삼성전자에서 주관하는 삼성창의공모전이나 삼성 SD Academy에서 공정설계 관련 교육을 받는 것도 좋은 준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삼성전자에서는 공정설계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시험과 면접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삼성전자의 공정설계 직무에 지원하신다면 해당 분야에 대한 기초지식을 탄탄히 쌓는 것뿐만 아니라 문제해결 능력과 협업 능력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취준생님의 미래에 대한 좋은 결과를 기원합니다. 화이팅!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취업 멘토 털보아저씨
코상무 ∙ 채택률 67%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반도체 취업 멘토 털보아저씨입니다.

공정설계는 개발 제품 공정 전체를 셋업하고 각 단위 공정에서 세부 파라미터 및 수율 개선은 공정기술에서 담당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댓글 0
5
5용굴
2024.03.11
공전 전체를 셋업한다는 것이 공정 절차를 정한다는 의미로 이해해도 될까요?
채택
l
lIIIIl
코사장 ∙ 채택률 79% ∙
회사 산업
일치

공정기술은 포토 에치 등 단위공정을 담당하는 곳입니다
공정설계는 8대공정을 이용해서 소자를 개발하고 공정 scheme을 만드는 차이가 있습니다


채택
화이팅CL2
코차장 ∙ 채택률 95%

안녕하세요.

공정기술은 단위공정을 관리하는 부분이고,

공정설계는

불량분석, 디자인 룰 설계, process flow 설계, device 개발 등과 같은 업무를 수행합니다.

process architecture같은 업무는 process flow를 설계하고 연구/개발/양산 단계의 wafer들의 trend를 파악하고 불량 발생 시 어떤 step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확인하고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공정기술/설비/설계팀에 연락하여 개선합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채택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우선 공정기술은 단위공정단에서 필요한 기술들을 개발합니다.
단위 공정은 에치, 포토 등 다양한 기술이 있죠

그리고 이 단위 공정단에서 나온걸 공정설계에서 담당합니다.
이를 이용해서 소자 개발 등을 담당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채택
탁기사
코사장 ∙ 채택률 83% ∙
회사 산업
일치

예로들면 새로운 scheme을 개발하고 구조를 만들고 화합물과 같은 특성평가를 통해 신규물질을 개발한다 = 공정설계
공설로 부터 scheme과 레시피의 전체적인 구조를 받아 시간이나, 압력, 플라즈마등등 조금씩 변경해가며 최적의 조건을 찾는다 = 공정기술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넓게 보는 공정설계와 하나에 집중하는 공정기술이 다릅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