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삼성전자 / 모든 직무

Q.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공기 vs 공설

안녕하세요 인서울 4년제 대학교 화공과 졸업 후
식각 기술을 연구하는 랩실에서 석사 과정을 수료한 학생입니다.

질문이 두 가지가 있는데
1) 공기와 공설의 정확한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식각 장비도 직접 다뤄 관련 논문도 작성하였고 반도체 공정 중 식각 쪽으로 전공이 특화되어 있는데 이런 경우 저에게 어느 쪽이 더 잘 맞는지 궁금합니다.

2) 석사의 경우 반도체연구소로 취직하기 힘들고 거의 박사 위주로 뽑는다던데 이에 대한 현직자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석사로서 메리트가 없다면 메모리 사업부 공설 혹은 공기 쪽으로 선회하는게 맞을까요?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감사합니다.

1) 공기와 공설의 차이는 주로 사용되는 공정 기술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공기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반도체를 절삭하는 방식으로, 특히 고주파 반도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 공설은 화학적인 방법으로 반도체를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주로 저주파 반도체에서 사용됩니다. 식각 기술을 연구하는 랩실에서는 두 가지 기술 모두를 다룰 수 있지만, 보통 한 가지 기술에 더 특화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저에게 어느 쪽이 더 잘 맞는지는 실제 경험을 통해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2) 석사로서 메리트가 없다는 것은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석사로서도 적절한 연구를 통해 좋은 논문을 발표하고 경력을 쌓는다면 반도체연구소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박사 학위를 가진 사람들이 더 많이 채용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석사로서도 박사 학위를 취득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도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석사 학위를 가진 사람들도 반도체연구소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저의 관심 분야에 대해 더 깊이 연구하고, 경력을 쌓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탁기사
코사장 ∙ 채택률 83% ∙
회사 산업
일치

1. 공기는 기존 공설에서 파생돼서 나눠진 공정개발쪽입니다. 8대공정에서 에치연구하셨으면 공설보다는 공기써야합니다. 공설은 소자관련 개발실입니다.

2. 박사는경력직으로따로뽑고 학석공채에서 석사비율이 학사보다 더 많은것같습니다. 반연 사람많이필요해서 많이뽑으니 반연공정기술추천드립니다.


채택
황금파이프
코부사장 ∙ 채택률 80% ∙
회사 산업 학교
일치

1) 공정기술은 개발된 공정을 양산공정에 도입하여 양산공정에 맞게 평가를 하는 것입니다. 공설은 전반적인 소자의 구조를 파악하여 공정 효율화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하기 위해 레시피 개발/평가 등을 진행합니다. 공정기술은 맡은 단위공정에 대해서 관리 및 평가를 하고, 공설은 소자 관점에서 공정을 개선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2) 반도체연구소에 석사 분들도 많습니다. 박사의 경우 과장으로 입사하는데 회사에서 모든 사람이 과장의 직책을 달 수 없기 때문이고, 박사의 경우 본인 분야를 잘 아는 것은 맞지만 실무 능력은 다소 부족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석사라고 해도 질문자 분의 연구 분야 및 경험이 좋아서 충분히 경쟁력 있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