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소서 · 삼성전자 / 모든 직무

Q. Avp사업부 공정기술 직무와 실험의 관계성

1)BaTiO3 분말 합성 후, xrd sem 결과를 물리적화학적이유로 분석경험
2) 합금조성 설계후, uts, indenter,fe-sem 사용경험
:과정에서 직접 조성(소재)변경과 데이터분석

이 두개로 avp사업부 공정기술에 fit한 경험이 있는지여쭤보고싶습니다. 제기담이 좀더 fit할까요?

반조체 fab. Pkg 조립소재의 물리/화학적 분석에 필요한 지식 보유자임을 어필해도 될지 모르겠습니다

위 경험이 공정레시피를 제가 직접적으로 변경하거나 패키지와 직접적연관이 있는것이 아니라서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


제가 이해한 바로는, BaTiO3 분말 합성 후 xrd sem 결과를 물리적화학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합금조성 설계 후 UTS, indenter, FE-SEM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경험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이는 avp사업부에서 공정기술을 담당하는 업무와 관련된 경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반도체 fab. Pkg 조립소재의 물리/화학적 분석에 필요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으실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avp사업부에서 담당하시는 업무와 관련된 경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험이 avp사업부 공정기술에 매우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기담도 이 경험에 매우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는 회사의 채용 담당자에게 여쭤보시는 것이 가장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6%

대졸신입은 직무와 직접적인 유관 경험이 아니어도 상관 없습니다. 그러면 경력직을 뽑겠죠.
신입의 주요 평가기준은 공학도 본연의 자질, 즉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사고에 기반한 문제해결능력입니다.
따라서 위 2가지 경험 중 위 내용이 보다 상세히 기술된 경험을 선택하시면 충분히 경쟁력을 가지실수 있습니다.


채택
황금파이프
코부사장 ∙ 채택률 80%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공정기술 직무 자체로만 보면 질문자 분의 경험은 연관성이 높습니다. 다만, 이번에 제조기술과 avp 공정기술을 따로 뽑는 상황에서 후공정 쪽 관련 기술이 없는 것이 살짝 아쉽긴 합니다.

만약 후공정 쪽 교육을 들으신 적이 있다면 후공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 공정기술 직무 경험 및 역량을 바탕으로 avp 공정기술에 어필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지지만 그게 아니라면 제조기술 공정기술 직무가 좀 더 적합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