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 삼성전자 / 산업디자인

Q. 취업, 진로를 상담받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멘토님.
저는 현재 서울대학교 공업디자인 석사과정 1년차를 진행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울산과학기술원에서 학부생활을 거쳤고, 서울대학교에서 디자인 역량을 더 키우고자 진학했습니다. 현재는 hci 연구실에서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산업디자이너로서 필수적으로 갖춰야할 능력은 어떤 것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2) 대기업의 인하우스 디자인팀에서 일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루트를 통해 접근해야할까요?

3) 기획부서와 산업디자인부서의 차이점은 어떤 것이 있나요?

감사합니다.

답변 2
이멘토
코부장 ∙ 채택률 71% ∙
회사 산업
일치

1) 많은 경험(포트폴리오, 전시회, 공모전 등)응 바탕으로 제품군에 대한 이해도가 중요할것 같습니다.
2) 루트는 다양해보입니다. 채용기간에 지원을 할 수도 있고 어떤 프로젝트나 프로그램 등을 참여하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3) UX와 UI의 차이라고 생각됩니다. 두분야를 함께 담당하기도 하고 UX로 사용자 경험에 대한 전반적인 flow를 기획하거나 UI로 사용자들이 접하는 디자인을 더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업무의 차이가 있습니다.


채택
시너지
코대리 ∙ 채택률 80% ∙
직무
일치

1) 산업디자이너로써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능력은 개인적으로 제품디자인을 놓고 보자면,
이쁘게 디자인하는 능력, 모델링 스킬 렌더링 스킬 등이 아니고
내가 디자인 한 이 제품으로써 "사람들의 생활이 얼마나 편해질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할 수 있는 능력" 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디자이너는 어떤 제품을 이쁘게 디자인하는 사람 이라고 생각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디자이너는 사람들의 삶을 편하게 바꿔주는 사람 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아주 작은 디자인 형태의 변화로 인해 사람들이 편해지는것.

우리 일상생활에서 무의식중에 사용하는 수많은 제품들을 볼까요?
; 노트북 마우스, 의자, 책상, 스탠드조명, 우산, 작은 볼펜까지
이 모든게 어느하나 디자인이 들어가지 않는게 없죠.
이 제품들을 디자인할 때 디자이너들이 단순하게 이쁘게만 디자인했을까요?
아닐겁니다.

마우스를 디자인하는 디자이너는
- 어떻게 해야 마우스를 사용하는사람들의 손이 덜 피곤하게, 덜 피로하게 만들 수 있을까
- 보통 평균적인 책상의 높이가 X고 사람들의 앉은키가 Y라고 생각하면 마우스를 쥐고있는 손목의 각도는 Z각도가 되겠네, 이 각도는 충분히 편안한가?

우산을 디자인하는 디자이너는
- 비오는날 사람들이 우산을 쓸 때 가장 불편하다고 느끼는점이 무엇일까?
어떤점을 개선해야 비오는날 사람들이 좀 더 편하게 우산을 쓸 수 있을까.

이런식의 사고방식이 디자이너에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 저는 국내 취업은 하지않고 바로 해외취업을 한 케이스라, 국내 대기업 취업루트는 잘 모르겠습니다.

3) 이건 정말 기업마다 다를 것 같아서 딱 정의내리기가 애매할 것 같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