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삼성전자 / 연구개발

Q. Q.화학공학과 출신이 반도체 관련 공정개발 직무에서 하게되는 업무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화학공학과 4학년에 재학중입니다.
최근 반도체회사에 관심이 생겨서 지원을 하고자 생각중인데, 막상 무슨 일을 하게 되는지 잘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반도체 8대공정에서의 수율을 향상시키고 불량을 줄이는 것 정도로 이해가 되는데 이 개념이 너무 포괄적인 느낌이라서 좀 더 구체적인 예로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현직에서 화학공학과 출신이 다른 전공자들과 차별화되는 점은 어떤게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화공과 수업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전공과목에는 어떤 게 있는지도 알고싶습니다)

답변 3
무엇이든 물어보살
코과장 ∙ 채택률 69%

과거 PCB업체 관련한 경험과 현 회사에수 공정개발업무를 하고있는 실무자 그리고 화공 출신으로서 아는범위 내에서 말씀드리면 일단 수율이 향상될만한 모든 일을 한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어차피 현 공장관리는 생산팀이 따로 존재하고요 생산팀은 정해진 표준내에서 작업을하고 관리적으로 수율 향상을 하는 업무를 하고 공정개발은 설비적으로 개선 개발 또는 에칭액과 같이 재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개선 개발 또는 공정에 필요한 불합리한 업무를 제거하거나 바꾸는 업무 등을 하게됩니다. 쉽게얘기하면 생산팀은 관리를 (잘하고 소소한 개선으로 수율향상을 공정개발은 큰 변경을 주어 수율향상이나 양산안정화 그리고 신제품 개발의 공정안정화 업무를 하게 될거에요. 기초적으로 필요한 것은 개선이 잘되엇는지 확인하기 위한 통계학, 삼성전자에서 사용하는 약품이나 공정조건 관련한 화학제품들에 대한 정보를 공뷰하시면 도움이될것 같네요ㅡ 어차피 설비적인개선을 하시엔 어려움이 많을것 같고요 참고하셔요~


c
cloud11
코부장 ∙ 채택률 74% ∙
산업
일치

화공과 출신이 반도체산업에서 할수있는 일은 무궁무진하게 많습니다. 전혀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될것 같구요. 화공과 출신이 다른 전자과나 재료과 출신들보다 차별화 되는점을 말씀드리면, 화공양론 수업을 들어보셔서 알것입니다. 반도체 공정에는 여러가지 화학물질들 특히 가스가 많이 사용되는데 물질의 분자량, 몰질량, 등 단위공정을 운영하면서 하루에 들어가는 가스량 비용산정하는데 화공과 출신이 압도적인 업무센스를 발휘합니다. 화공양론 수업은 꼭 들으시길 바랍니다. 업무관련 조금 보충을 하고싶다면 타과 물리학과 기초수업을 따로 들으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양자물리기초나, 분광학등을 수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분광학이 꽤나 많이 쓰여집니다. 회로나 절연막을 형성한후 광학적인 특성을 많이 봐야하기 때문에 분광학이 많이 도움이 될것입니다.


살라딘
코전무 ∙ 채택률 66% ∙
회사 산업
일치

반도체는 아시다 시피 결국에 화학결합의 제품입니다. 전자과 또한 반도체에 대해서 많이 배우나, 화공과면 좀 더 물질에 대해 많이 배우셨을 테니, 당연히 그런 연구개발쪽으로 역량을 발휘하게 될 것입니다. 그 전공에 있다보면 당연한 상식도 타과에서는 아닐 수 있으니, 학교 선배들에게 들으시면 좀 더 확실히 아실 수 있을거 같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