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삼성전자 인사팀 또는 비즈니스 기획 팀 취업 관련 진로 문의드립니다.
제가 전역 후 진로에 관해 고민이 많아져서 질문을 드립니다.
저는 고등학교 시절부터 경영 쪽에서 일해보고 싶다라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하지만 성적이 되지않아 전공은 축산학과 쪽으로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아직도 미련이 남아 어떻게 해야 하나 고민이 많아 질문드립니다.
1. 상위권 대학 경영학과로 편입학을 준비한다. (전공이 달라서 학점인정도 많이 안되어서 학교를 오래 다녀야할 것 같습니다.)
2. 게속 이 학교를 다니며 경영관련 자격증을 따거나 준비한다.(경영관련 자격증이 무엇이 있는지도 경영 관련 자격증에 정보가 많이 없거나 난이도가 매우 어려워 따기 어려운 걸로 알고 있습니다..)
3. 게속 학교를 다니며 노무사 자격증을 준비해본다.(정말 어려운 걸 알고 있습니다. 구지 자격증을 따고 회사에 취업하는 사람도 많이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정말 아는 것도 없고 어떻게 해야 할 지도 몰라 이렇게 질문을 올려봅니다.
미리 답변을 달아주심에 감사 인사를 올립니다.
1. 상위권 대학 경영학과 편입학: 경영학과에서의 학습은 경영 관련 이론과 실무를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전공이 다르기 때문에 학점 인정이 제한적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학업 기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상위권 대학에서의 네트워킹 기회도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경영 관련 자격증 취득: 경영 관련 자격증으로는 공인회계사(CPA), 세무사, 경영지도사, 인사관리사, 마케팅관리사 등이 있습니다. 자격증 취득은 전문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지만, 난이도가 높은 경우가 많아 충분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또한, 자격증이 취업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실무 경험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노무사 자격증 준비: 노무사 자격증은 노동법과 관련된 전문 지식을 요구하며, 매우 어려운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인사 및 노무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지만, 경쟁이 치열하고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도 관련 분야에서의 경험이 중요합니다.
각 옵션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본인의 상황과 목표에 맞는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인 정보나 조언이 필요할 경우, 관련 분야의 전문가나 멘토와 상담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024.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