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삼성전자 메모리 공정기술(Test)
안녕하세요,
이번 2024 삼성전자 상반기 채용에 메모리 공정기술로 지원 예정인 중고 신입입니다.
wafer test 엔지니어로 1년 일했는데 보통의 일은 test개발 보단 제품 관리 측면에서 했는데 메리트가 있을까요?
(test pgm optimize _ test time 감소나 이슈 해결을 위한 test item 추가하여 screenablilty 향상, yield drop이나 산포 이상할 경우 분석해서 원인 파악(설비나 공정, 주로 설비), 포함한 test 관리 업무, limit 정하기 등) 의 업무가 메리트가 있는게 있나요? 있다면 어느 업무가 가장 핏한지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재 삼성전자 메모리 test에서 중요하게 보는 역량이나 목표가 있을까요?
질문이 길어서 죄송하지만,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메모리 공정기술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test 개발보다는 제품 관리 측면에서 일하시는 것은 일반적인 경우입니다. 그렇지만 그만큼 많은 업무가 있고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됩니다.
우선, test 개발보다는 test 관리 업무가 더 큰 메리트가 있습니다. 제품 관리 측면에서 제품의 성능을 높이고, 이슈를 해결하며, yield를 향상시키는 등의 업무를 맡게 됩니다. 또한 설비나 공정, 주로 설비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져 설비 관리 업무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이는 업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test 개발 시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test 개발에 대한 역량이 높다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는 test 개발 시에 필요한 장비를 선택하고, test 개발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노하우를 갖추는 것을 말합니다.
삼성전자 메모리 test에서 중요하게 보는 역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1. Test 개발 및 관리 역량
2. 제품 관리 및 이슈 해결 역량
3. 설비 및 공정에 대한 이해도
4. 장비 선택 및 효율적인 test 개발 능력
5.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또한, 메모리 공정기술 엔지니어로서의 목표는 공정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노하우를 갖춘 전문가가 되는 것입니다. 또한 제품의 성능을 높이고, 이슈를 해결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맡는 것입니다.
질문이 길어서 답변이 늦어져 죄송합니다. 다른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20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