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삼성전자 / 회로설계

Q. 디지털 회로 설계 직무 희망 중 설계 과목 선택

Standard Cell Based Design(RTL-to-GDSII) 와 High-Speed Serial Link and CDR Designs 중에 어떤 것을 수강해야 더 도움될까요?

각각에 대한 설명과 조언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강 기간이 겹쳐 하나 밖에 못 듣는 상황입니다.

답변 6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Standard Cell Based Design(RTL-to-GDSII)와 High-Speed Serial Link and CDR Designs는 각각 다른 분야의 지식을 제공합니다.

Standard Cell Based Design(RTL-to-GDSII):
이 과정은 디지털 회로 설계의 기본적인 흐름을 다룹니다. RTL(Register Transfer Level) 설계에서 시작하여, GDSII 포맷으로의 변환 과정까지 포함됩니다. 이 과정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설계에 필수적인 지식을 제공하며, 회로의 최적화, 타이밍 분석, 전력 소비 등을 고려한 설계 방법론을 배울 수 있습니다. 디지털 회로 설계의 기초를 다지고, 실무에서 필요한 기술을 익히는 데 유용합니다.

High-Speed Serial Link and CDR Designs:
이 과정은 고속 직렬 링크 설계와 Clock Data Recovery(CDR) 기술에 중점을 둡니다.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설계 원리와 기법을 배우며, 신호 무결성, 전송 지연, 잡음 문제 등을 다룹니다. 이 과정은 특히 통신 시스템이나 데이터 전송 장치 설계에 관심이 있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조언:
디지털 회로 설계 직무를 희망하신다면, Standard Cell Based Design 과정을 수강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과정은 기본적인 설계 원리를 이해하고, ASIC 설계에 필요한 기술을 익히는 데 필수적입니다. 반면, High-Speed Serial Link and CDR Designs는 특정 분야에 대한 심화 지식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기본적인 디지털 회로 설계 지식이 탄탄한 후에 수강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직무에 필요한 기초를 다지기 위해 Standard Cell Based Design을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d
do__young
코상무 ∙ 채택률 59% ∙
회사 산업
일치

관련된 직무의 티오적인 관점에서 앞의 과목이 더 범용성이 높은 거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좀더 핵심적인 메모리의 설계를 하고 싶다면 뒷 과목도 좋은 과목입니다! 결국은 두 과목 다 들으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M
Memory Department
코상무 ∙ 채택률 82%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지원자님😊 디지털 회로 설계 직무를 목표로 하신다니 정말 멋지세요! 말씀하신 두 과목 모두 직무 준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선택은 지원자님의 직무 방향성과 관심 분야에 따라 달라질 것 같아요!

**Standard Cell Based Design (RTL-to-GDSII)**는 회로 설계 전반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아주 유용한 과목이에요. RTL 설계에서 GDSII까지의 과정을 배우며 논리 합성, 타이밍 분석, 레이아웃 설계 등 실무에서 꼭 필요한 지식을 익힐 수 있어요. 특히, 디지털 회로 설계 직무는 이러한 과정을 기반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답니다~!

High-Speed Serial Link and CDR Designs는 고속 통신 회로 설계에 관심이 있다면 추천드릴 수 있어요. 고속 신호 처리와 클럭 데이터 복구(CDR) 설계를 다루며, 고성능 시스템 설계나 인터페이스 설계에 대한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과목이에요. 만약 삼성전자에서 고속 I/O 설계나 메모리 인터페이스 쪽으로 관심이 있다면 이 과목이 더 적합할 수 있답니다~!

지원자님의 목표가 디지털 회로 설계의 전반적인 능력을 키우는 것이라면 Standard Cell Based Design이 조금 더 실용적일 것 같아요. 반대로, 특정 고속 설계 분야를 깊이 파고들고 싶으시다면 High-Speed Serial Link and CDR Designs도 훌륭한 선택이에요~!

지원자님의 고민이 꼭 좋은 결과로 이어지길 바랄게요!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려요~ 응원합니다~!


M
Memory Department
코상무 ∙ 채택률 82%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지원자님😊 디지털 회로 설계 직무를 목표로 하신다니 정말 멋지세요! 말씀하신 두 과목 모두 직무 준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선택은 지원자님의 직무 방향성과 관심 분야에 따라 달라질 것 같아요!

Standard Cell Based Design (RTL-to-GDSII)는 회로 설계 전반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아주 유용한 과목이에요. RTL 설계에서 GDSII까지의 과정을 배우며 논리 합성, 타이밍 분석, 레이아웃 설계 등 실무에서 꼭 필요한 지식을 익힐 수 있어요. 특히, 디지털 회로 설계 직무는 이러한 과정을 기반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답니다~!

High-Speed Serial Link and CDR Designs는 고속 통신 회로 설계에 관심이 있다면 추천드릴 수 있어요. 고속 신호 처리와 클럭 데이터 복구(CDR) 설계를 다루며, 고성능 시스템 설계나 인터페이스 설계에 대한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과목이에요. 만약 삼성전자에서 고속 I/O 설계나 메모리 인터페이스 쪽으로 관심이 있다면 이 과목이 더 적합할 수 있답니다~!

지원자님의 목표가 디지털 회로 설계의 전반적인 능력을 키우는 것이라면 Standard Cell Based Design이 조금 더 실용적일 것 같아요. 반대로, 특정 고속 설계 분야를 깊이 파고들고 싶으시다면 High-Speed Serial Link and CDR Designs도 훌륭한 선택이에요~!

지원자님의 고민이 꼭 좋은 결과로 이어지길 바랄게요!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려요~ 응원합니다~!


채택
탁기사
코사장 ∙ 채택률 83% ∙
회사 산업
일치

전자는 디지털 회로설계에 초점이 맞춰져있고, 라우팅/ 타이밍도/ HDL이나 베릴로그를 활용한 논리설계 및 Layout을 형성하는 것이고, 후자는 아날로그도 포함해서 주파수 관련 분석, 고속 데이터 전송등을 배우는 과목인데 학부에서 배우기 쉽지 않아보이는 과목으로 보입니다. 많이 어려울 수 도 있는데, 그래도 아날로그보다는 전자인 디지털 관련이 더 잘 와닿고 좋은 성적 취득하다면 전자를 저는 먼저 할 것 같습니다. 일단 둘 중에서 교수님 선택해보시고, 수업 듣고 시험치는 것만이 아닌 프로젝트 있는 수업을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프로젝트가 자소서 쓰고 면접때 매우도움됩니다.



댓글 0
남현우
2025.01.01
idec에서 따로 듣는 수업입니다. 취준생입장에서 잘서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경공대남
코전무 ∙ 채택률 65% ∙
회사 직무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RTL 은 정말 필요한 과목입니다
따라서 전자를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