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삼전, 하닉 직무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2월 졸업 예정자인 학부생입니다. 삼전, 하이닉스 직무 선정에 있어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제 스펙은
건동홍 / 전기전자과 / 전체학점 4.04 / 전공학점 4.27 / 차세대 소자 연구실 학연생 6개월 / 공정실습 1회 / 성대 회로설계 교육 3개월 (현재 듣는 중)
Verilog로 FeFET 소자 모델링 (학연생)
삼성디스플레이 발광 회로 소비 전력 절감 프로젝트 (졸업 프로젝트)
Opamp 설계 프로젝트 (심화 전공)
etch 공정 모델링 프로젝트 (공정 실습)
현재 회로설계 교육 들으며
design rule에 맞춰 inverter layout 설계
comparator, opamp 설계
풀커스텀 디지털 회로 설계
등의 활동을 할 것 같습니다.
직무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회로설계 / 메모리 회로설계 중에서 고민중이고,
하이닉스는 양산기술 / 설계 / PE 중에서 고민중입니다.
설계쪽으로 가기에는 제 스펙이 너무 부족한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현재 보유하고 계신 스펙은 전기전자 분야에서 상당히 우수한 편입니다. 학점이 높고, 연구실 경험과 다양한 프로젝트 참여가 이력에 포함되어 있어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특히 Verilog를 활용한 소자 모델링 경험과 졸업 프로젝트, 공정 실습 등은 설계 직무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회로설계와 메모리 회로설계는 모두 설계 관련 직무로, 회로 설계 능력과 이해도가 중요합니다. 현재 진행 중인 회로설계 교육은 이러한 능력을 더욱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설계 직무에 대한 두려움이 있으시더라도, 지속적인 학습과 경험을 통해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하이닉스의 양산기술, 설계, PE 직무 역시 각각의 특성이 있습니다. 양산기술은 생산 공정과 관련된 지식이 중요하며, 설계는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이 요구됩니다. PE(프로세스 엔지니어링)는 공정 최적화와 관련된 직무로, 공정 실습 경험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설계 직무에 대한 두려움이 크지 않다면, 현재의 경험과 교육을 바탕으로 도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자신이 선호하는 분야와 직무에 대한 흥미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인 정보나 조언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