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보험사의 직무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금융관련 취업을 희망하다가 최근에 보험사도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보험사 직무와 연봉 워라벨 등에서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도움을 요청하게 되었습니다.
ㄱ. 영엉관리/ 손해사정 크게 이렇게 2가지로 나뉘던데 손해사정의 경우에는 영업압박이 없고 보통은 본사에서 합의금배분, 과실비율 결정 이런 업무를 주로 보게 되는 것 인가요?
ㄴ. 손해사정직무의 경우 영업관리직보다는 연봉이 적은편인가요?
ㄷ. 보험사 연봉이 증권사보다도 높던데.. 이렇게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일이 힘든가요.. 저녁이 없는 삶이라거나...
ㄹ. 금융을 희망하는 이유가 전문성때문인데요, 증권사와 달리 보험사는 회계나 재무지식이 필요한것 같지는 않은데 실제로 그런가요?
ㅁ. 보험사에서 전문성을 키운다거나 자기성장 욕구가 채워진다거나 하기는 쉽지 않나요? 약간 그냥 시중은행 행원정도의 업무전문성이라고 생각하면 되나요?
ㅂ. 평균적인 정년이나, 이직, 은퇴이후 등의 커리어설계가 궁금합니다.
1. 손해사정은 지역별 보상센터에 근무하고 자동차 대인보상은 고객대면을 위해 외근도 있습니다. 장기보상은 직접대면이 적기는 하나 케이스에 따라 직접 수행하기도하며, 상품담보에 따라 과실소득장해에 따라 손해액을 산출하고 지급될 보험금을 협의합니다.
2. 연봉은 동일합니다. 단 영업은 인센티브의 편차가 큽니다. 손해사정직도 성과 인센티브가 있으나 편차가 크진않습니다. 케바케고 사용하기 따라 다르므로 어느직무가 돈을 많이 번다고 말하긴 쉽지않습니다.
3. 증권사는 수입에서 인센티브 비중이 큰 구조라 계약연봉이 적습니다. 일은 상대적으로 조금더 힘들수 있습니다. 보험사고는 좋은일로 만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며 워라벨이 스타트업만큼 좋은편은 아니지만 통상적인 대기업 정도 수준입니다. 최근 개선중
4. 영업직무라면 재무관련지식이 꽤 도움되고, 손해사정은 업무 일부에 활용가능합니다. 소득산출 등
이외 의학, 사고조사, 민형사법률, 약관해석 등 많은 전문성이 필요합니다.
5. 보험사는 교육제도가 잘 잡혀있는 편이라 성장욕구는 충분히 충족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그 욕구를 지속적으로 노력하시는게 우선이겠죠
6. 정년은 60세이며 은퇴시기는 대부분의 사기업체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최근 임금피크제를 적용해 특정직무에 근무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직 퇴직후 커리어는 회사내에서 어떤직무를 수행했냐에 따라 다르기에 다 설명드리긴 어렵습니다. 입사 3ㅡ5년 이후에는 영업손해사정만 하시는게 아니라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손보사는 생보사대비 보좀,상품, 직무갯수가 매우 다양하며 경력개발을 위해 직무순환제도도 권장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직무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수이니 지인이나 설명회, 정보검색 등을 통해 좋은결과 거두시기 바랍니다.
2018.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