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산업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코리아 / 필드엔지니어

Q.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엔지니어링 신입 채용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2018엔지니어링으로 이천에 있는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에서 신입채용을 하는 것을 보고 지원하려고합니다.
엔지니어링 파트 지원의 경우 모집분야가 변속기 사업부, 바디전장 사업부, 엔진시스템 사업부, 품질, 제조기술 로 되어있고, 채용 직종은 system, hw, sw engineer 등등 있는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엔지니어링 파트가 연구개발을 포함하는 직무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의 경우 sw 중심인것으로 알게되었는데 전자과 학사의 경우 sw적인 경험을 직무와 연결시켜야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어떤 직무가 전자공학 학사에게 적합한지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첫 지원이라 회사 홈페이지와 많은 기사들을 검토했지만 명확하게 파악하기가 힘이드네요.

답변 3
질문자

상담내역을 보며 많은 것들을 참고할 수 있었습니다. 값진 시간 내셔서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채택
H
Hongineer
코이사 ∙ 채택률 84%

안녕하세요 hongineer입니다.

엔지니어링 파트가 연구개발 파트입니다. Engineering쪽으로 지원하시면 됩니다.
어떤 의미의 SW로 이해하셨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전자전공에 충실하게 어필하시면 되고 전자과시면 변속기나 바디전장쪽으로 지원하시는게 좋습니다

화이팅입니다


채택
멘토48380
코대리 ∙ 채택률 66%

저희 신입사원을 본 결과 학부생 수준에서는 System, SW, HW 간 관계를 잘 모르는 것 같아 첨언 드립니다. 제어기의 경우 대부분 PCB위에 올라간 소자/칩을 설계하는 것이 HW, 이 HW를 통해 Processing Unit에 들어온 전기/전자 신호를 SW가 알아들을 수 있는 Logical Bit로 바꿔주고, 제어를 Actuation시킬 수 있는 전기/전자 신호로 바꿔주는 것이 Basic SW 정도로 불릴 수 있으며, BSW에서 제공되는 Logical bit를 정보화하여 제어 로직을 설계/개발하는 것이 Application SW라 합니다. 그리고 이들간의 상호관계 및 Mechanics를 포함, 시스템 외부와의 Interface를 정의하는 것이 System입니다. 보통 전기전자 전공자의 경우 SW 직무를 선택할 경우 BSW단의 SW를 설계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