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산업 · 해외 / 총무 재무

Q. 룩셈부르크 기업을 다니고 싶습니다

룩셈부르크 기업을 다니고 싶슴니나 아시다시피 1인당 gdp 1위인 나라의 회사는 어떠한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지 정말 배우고 싶어 룩셈부르크 안의 회사에 취직을 하고 싶습니다 물류와 금융이 주업인 만큼 제가 취직하고 자하는 기업 또한 금융 및 물류라 적성도 맞을꺼 같아 이렇게 질문 올립니다

답변 3
프로^^
코차장 ∙ 채택률 68%

안녕하세요. 이왕이면 현지에서 대학원 유학을 하면서 취업을 준비하시는게 더 효율적인 방법일 듯 합니다. 한국에서 바로 취업을 준비한다는 것은 고용주와의 인터뷰 문제도 있고, 취업 비자를 받기 위한 여러가지 절차가 너무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현지 대학원에서 공부하면서 취업 허가를 받은 상태에서 구직 활동을 하는 게 효율적입니다. 건투를 기원드립니다.


화성남
코부사장 ∙ 채택률 83%

안녕하세요 멘티님.

우선 외국에서 처음부터 외국기업에서 신입으로 시작 하실려면,
1. 현지 대학 학사 또는 석사 이상의 학력 소지
2. 정부 취업 보조 프로그램을 통하여 인턴기간을 거친 뒤 취업
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사실 2번은 다녀온 후배들 말을 들어보면 인턴을 거친 뒤 채용 연장이 거의 되지 않는 다고 합니다. 고용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주기 보다는 어찌보면 국민 홍보용 프로그램의 성격이 강한 듯 하네요. 그래도 혹시 모르니 일단 K-move라는 프로그램 서치해보시기 바랍니다.

제일 좋은 방법은 국내에서 관련 업무 경력을 3년 이상 만드시고 나서 룩셈부르크든 타 유럽권 국가로 이직을 하시는 건데요, 물론 첫 회사를 고르실때 해당 국가와의 교류나 계약이 진행되고 있는 곳으로 하셔야겠죠.
이런 경력 이직의 경우에는 주로 헤드헌터를 통해서 잡을 구하는데,
싱가폴 소재의 에너지 리소싱 코리아 (울산에도 있지만, 분점에 가까운 개념이므로 싱가폴 오피스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로 접속) 나 Hays같은 웹사이트 통해서 구직 정보를 구하셔야 합니다.
해당 사이트에 경력자들이 본인 이력서를 등록을 해두면 해당 국가의 원하는 vacancy가 뜰때마다 이메일이나 전화로 연락을 줍니다.
물론 헤드헌터 이용비용은 무료입니다. 혹시나 돈을 요구한다면 사기로 보시면 됩니다. 헤드헌터의 수입은 지원자가 아닌 구인을 요청하는 회사에서 제공하는 부분입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메롱꿀꿀
코과장 ∙ 채택률 72%

거긴 기업 시스템때문에 쥐디피가 높은게 아니고... 쥐디피 계산 식에는 회사의 효율적인 시스템 구비 여부가 들어가지않습니다. 그래도 경험해보는게 최고겠져. 해외 인턴 및 워킹홀리데이부터 알아보시는 것이 낫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