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현대자동차 / 구매

Q. 현대자동차 구매/부품개발 직무에 관심있는 취준생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대자동차 구매/부품개발 직무에 관심있는 취준생입니다.

구매 직무에서는 외국어능력, 소통 능력, 통찰력, 협상능력, 원가분석 등의 경영학점 관점 등 이 주요 역량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자기소개서에 제가 해당 직무에서 발휘할 수 있는 역량 2가지를 적었는데요!

1. 대학생자원봉사단의 리더를 맡으며 숲을 볼 줄 아는 통찰력을 키웠습니다.
자원봉사를 기획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원봉사단, 기관 사회복지사, 봉사 대상자 분들 중간에서 서로의 의견을 조율 하는 통찰력을 키웠습니다.
2. 대학교 축제 기간 장사를 통해 어떤것이 가장 이익인지 판단하는 능력을 키웠습니다.
장사 경험을 통해 손해와 이득을 빠르게 판단하며 피드백하는 과정에서 손익계산 판단력을 키웠습니다.

구매 직무 현업에 계신 멘토님들이 보시기에 제 역량이 구매 직무와 적합하다는 느낌이 드시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3
채택
멘토31048
코과장 ∙ 채택률 84%

1번은 적절할 것 같으나 2번은 소소한 느낌이 있습니다. 구매/부품개발은 주요 성과는 값싸게 좋은 부품은 구매하는 것이고 또하는 외국산 부품을 업체를 뚫어서 국산화하여 가격 협상력을 높이는 것입니다. 대안이 있으면 가격을 낮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사례가 묻어날 수 있는 경험을 매칭 시켰으면 합니다. 장사를 하더라도 재료비를 낮출 수 있는 ~~~~한 전력을 썼다. 혹은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대안을 마련했다 등등의 경험 사례가 어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참조하셨으면 합니다.


채택
ㄴ ㅣ ㄱ 네임
코부장 ∙ 채택률 82%

안녕하세요

통찰력과 1번의 예시는 직접적인 연관이 좀 떨어지는 것 갔습니다. 의견 조율 = 통찰력이라는 논지로 글을 적어주셨는데... 통찰력을 갖고 --> 서로 다른 이해관계자의 욕구를 파악 --> 의견 조율 요렇게 서술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2번의 경우 딱히 역량을 갖추었다고 판단하기 어렵네요. 혹 교양수업이나 교외 교육으로 원가나 회계 관련 수강 기록이 있다면 비전공자로서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러한 노력을 해왔다라고 적는것이 더 낳을 것 같습니다.

구매/부품개발은 단순 정규격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설계도 부터 출발하여 설계도데로 제작을 해줄 벤더를 개발하는 업무를 하여야 합니다. 기계 장치에 대한 도면을 읽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도 도움이 될것이라 생각됩니다.


채택
신여성님
코과장 ∙ 채택률 61%

1번 사항은 구체적인 에피소드를 적어주면 좋겠습니다.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의견을 조율해주었는지, 문제상황과 극복한 과정을 자세히 기술해주시면 더욱 좋겠습니다.
2번 사항은 축제기간 장사를 통해 단순 이익 계산만을 배웠는지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경험 안에서 자신의 장점을 발견했다거나 배운점이 있는지 적어주면 좋은 예시가 될 것 같습니다. 의사소통 능력, 협상능력, 협력업체 관리능력 (판매시 구매자에 대한 심리 이해 및 관계유지 필요), 도전정신 (업체발굴 및 다각화에 필요하며 장사가 또 하나의 도전 아니었을까요) 등을 연계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또는 드러내고자하는 역량에 적합한 더 좋은 사례가 있는지도 생각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