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품 생산 공정 최적화 연구 -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을 분석하여 최적화 방안을 연구하는 학부연구 - 생산 시간 단축, 비용 절감, 품질 향상 등을 목표로 함
2. 생산 공정의 자동화 및 로봇화 연구 - 인공지능, 로봇 기술 등을 활용하여 생산 공정의 자동화 및 로봇화를 연구하는 학부연구 - 생산 과정에서의 인력 부담 감소, 생산 능력 향상 등을 목표로 함
3. 생산 라인 및 설비의 설계 및 개선 연구 - 생산 라인 및 설비의 레이아웃, 구성, 운용 등을 분석하여 최적화하는 연구 - 생산 효율성 향상, 공간 활용도 향상 등을 목표로 함
4. 품질 관리 시스템 구축 및 개선 연구 - 품질 관리 시스템의 구축과 개선을 위한 연구 - 품질 향상, 불량률 감소, 고객 만족도 향상 등을 목표로 함
5. 공정 데이터 분석 및 예측 연구 -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향후 생산 예측을 하는 연구 - 생산 계획 수립 및 재고 관리에 도움을 주는 목적으로 함
6. 빅데이터 기반 생산 관리 연구 -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 관리를 최적화하는 연구 - 생산 일정 계획, 재고 관리, 불량률 예측 등에 활용되는 목적으로 함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댓글
0
s
sundown
작성자
2024.03.22
현차 울산공장 기준 궁금합니다!
Top_Tier
HD현대건설기계
코사장
∙ 채택률 95%
학부연구생보다는 저는 중견급 이상에서 인턴을 하시는 것이 낫다고 생각을 합니다. 연구/개발이 아니라면 학부연구생으로 할 수 있는 것이 크게 없을 것이며, 학부연구생 보다는 인턴이 취업시에 더 좋은 스펙이 됩니다.
신
신뢰의마부
두산에너빌리티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품질 직무쪽으로는 머신러닝, 데이터분석을 통한 품질 문제개선 분석을 할수 있는 학부 연구생활동이 있다고 보실수 있고 생산은 현장에서 생기같은건 유공압 + PLC 경험을 쌓을수 있는 연구생하면 좋습니다.
코
코르페
한화
코사장
∙ 채택률 88%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아직 2학년이라면 가장 중요한 것은 학점관리라고 생각합니다. 3학년부터는 연구실 인턴이나 자격증 취득 실무교육 등의 스펙을 쌓는게 좋습니다. 연구는 일단 본인이 원하는 직무나 산업군을 설정하고 해당분야를 연구하고 계신 교수님 연구실에서 인턴을 하며 경험을 쌓으시길 바랍니다.
남양연구소
현대자동차
코사장
∙ 채택률 98%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자동차 공학, 기계 공학, 재료 공학 부분이라면 어떤 주제든 상관 없습니다. 생기쪽이라면 특히 재료공학, 생산공학 등 주제나 연구실을 찾아보셔도 되구요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조급해하지마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코과장
∙ 채택률 89%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정확하게 학교마다 랩실마다 연구분야를 정확히 알 수 없기에 말씀드릴수는 없습니다. 제일 좋은건 지도교수님 상담이더라구요. 저 역시도 지도교수상담을 통해 랩실을 들어갔구요. 한번 상담 해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추가 질문 댓글 주시면 답변 드릴게요 채택도 꼭 부탁드립니다:)
킹
킹차
현대자동차
코전무
∙ 채택률 75%
∙
회사
산업
일치
생산성 및 품질 관련된 학부연구생하면 좋지않을까요?
사실 대부분 연구실은 '연구'하는 곳이라, 찾기 쉽지않을 겁니다.
그럼에도 어떤 학부연구생을 하던지 여러모로 자소서 쓰는데 도움될거에요
댓글
0
s
sundown
작성자
2024.03.22
메카트로닉스나 인공지능과 관련된 곳은 어떤가요? 개인적으론 코딩에 적성이 없긴한데 그 두군데가 학부연구생을 많이 뽑는거같더라구요
-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을 분석하여 최적화 방안을 연구하는 학부연구
- 생산 시간 단축, 비용 절감, 품질 향상 등을 목표로 함
2. 생산 공정의 자동화 및 로봇화 연구
- 인공지능, 로봇 기술 등을 활용하여 생산 공정의 자동화 및 로봇화를 연구하는 학부연구
- 생산 과정에서의 인력 부담 감소, 생산 능력 향상 등을 목표로 함
3. 생산 라인 및 설비의 설계 및 개선 연구
- 생산 라인 및 설비의 레이아웃, 구성, 운용 등을 분석하여 최적화하는 연구
- 생산 효율성 향상, 공간 활용도 향상 등을 목표로 함
4. 품질 관리 시스템 구축 및 개선 연구
- 품질 관리 시스템의 구축과 개선을 위한 연구
- 품질 향상, 불량률 감소, 고객 만족도 향상 등을 목표로 함
5. 공정 데이터 분석 및 예측 연구
-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향후 생산 예측을 하는 연구
- 생산 계획 수립 및 재고 관리에 도움을 주는 목적으로 함
6. 빅데이터 기반 생산 관리 연구
-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 관리를 최적화하는 연구
- 생산 일정 계획, 재고 관리, 불량률 예측 등에 활용되는 목적으로 함
2024.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