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 현대자동차 / 품질관리

Q. 시험 / 해석 분야로의 경력개발 관련 냉철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NVH 분야에서 석사학위를 이수하고 현재 타사 차체설계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석사전공과 거의 관련이 없다보니 경력개발이 잘 되는 것 같지 않아 걱정이 많습니다. NVH 분야만을 고집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어필하기에는 NVH가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NVH 시험이나 해석분야로 이직하려고 합니다만,
1. 차체설계 경력이 차량평가 분야에 지원하는데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궁금합니다.(긍정적 / 부정적, 어떤 면에서?)

2. 차량평가 분야에 지원시 차체설계 경력을 어떤 식으로 어필하는게 좋은 평가를 끌어낼지도 궁금합니다.

3. 현대자동차 내에서 직무 순환이 어느 정도로 활성화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4. 그리고 엔지니어로 성장하는데 있어서 NVH 석사 -> 차체설계 ->시험/해석으로 경력 개발하는 것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현명하다, 어리석다, 쓸데 없다 등등.

현대자동차 차량평가 선배님들의 현실적인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답변 3
선한영향력7
코부장 ∙ 채택률 67%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후배님
1. 평가쪽에 더 어필하실 수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만 설계 시에도 nvh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충분히 어필가능 할 것 같습니다.
2. 어러 관련 부문과의 협업 경험, 자동차의 성능 부분에 대한 이해 등을 말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직무순환은 4년 이상이면 가능성이 많습니다.
4. 좋은 커리어 개발이라고 보여집니다.
건승하세요.


채택
장수원
코전무 ∙ 채택률 74% ∙
회사 산업
일치

1. NVH 센터도 출시 전 테스트하는 연구동이 있고, 출시 후 문제되는 거에 대한 연구를 하는 연구동이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 차체의 구조상 다발생되는 원인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선행단계에서 대부분 조치를 하지만요 ㅎㅎ 차체를 이해한다는 것은 이 소음 진동이 왜 이쪽에서 발생되는지 구조적 이해를 쉽게 할 수 있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전공지식이 있기에 이런 경험까지 더하면 좋다고 봐요.

2. 차체 설계를 하면서 여러가지 요소들을 감안해서 하겠지만 뭐를 중점적으로 두면 진동을 줄일 수 있고 뭐를 어찌하면 등등 만들어내는건 멘티님이 경험하신 일에서 잘 착안하면 좋을듯해요.

3. 직무 순환은 주기적으로 신청받습니다. 허나 어느정도 평가 점수도 있어야하고 무조건적이지는 않습니다. 티오 문제도 있구요. 연구원으로 있다보면 돌게 됩니다.

4. 차체설계까지 지금은 경력을 만드신거기에 시험 해석 NVH 이쪽에서 능력을 키워나가는건 좋다고 봅니다. 문제가 많은게 쭉 이쪽에서 해온분들을 다른팀으로 보내고 보내고 하다보니 정작 기술경험이 있는사람들이 나가기도 하고 그런 일들도 있습니다. 이쪽에서 경력을 오래오래 키워가시면 좋겠습니다.


채택
휴면계정

안녕하세요 좋은 결과 바랍니다.

1. 차량평가하는 분야에서 차체설계를 안다는 것은 많은 도움이 됩니다. 평가하는 입장에서 아무것도 모르고 하는 것보단 왜 그렇게 발생했는지에 대해서 구조적으로 아는 것은 분명 긍정적인 요소로 보여질 것 같네요.

2. 아무래도 완성차 회사이다보니까 어필할 수 있는 것은 같은 성능이라도 원가에 유리하고 경량화에 성공한 사례들이나 연구들을 어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3. 생각보다는 주기적으로 옮길 수 있지는 않습니다. 본인 희망자에 한하여 한정적으로 옮겨지는 것이기 때문에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은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4. 회사 내에서도 경력을 쌓는 것을 많이 권유하는편이긴 합니다만 본인이 커리어패스를 그렇게 쌓고 싶다면 그에 따른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자주 팀을 옮기거나 자신의 커리어만을 생각해서 이리저리 옮긴다면 그렇게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분위기는 아니긴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